2023/08/24

애플실리콘용 '아사히리눅스' 페도라 기반으로 바뀐다

애플실리콘 맥용 리눅스 프로젝트인 ‘아사히 리눅스’가 새로운 플래그십 배포판으로 ‘페도라’를 택했다.

5일 아스테크니카에 따르면, 아사히리눅스 프로젝트는 새로운 플래그십 배포판은 ‘페도라 아사히 리믹스’라고 발표했다.

이 내용은 지난주 아일랜드에서 열린 페도라의 ‘플록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아사히리눅스 측은 8월말까지 페도라 아사히 리믹스를 공식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사히리눅스는 애플의 M프로세서 기반 맥에서 구동가능한 리눅스로 개발돼왔다. 초기엔 아치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아사히리눅스 프로젝트 운영진은 아치리눅스 업스트림 프로젝트에 관여하지 않고, 패키지 리포지토리에서 다운로드해 변경하는 다운스트림으로 아사히리눅스를 개발했다.

다운스트림 개발은 다양한 작업에 공식 지원을 받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에 프로젝트 측은 페도라 통합을 검토했다. 업스트림 배포판에 공식적으로 참여해 모든 커스텀 패키지, 커널 및 메사 포크, 특수 이미지 패키징 요구사항 등을 포함한 모든 애플실리콘 지원을 페도라에 완전히 통합하게 됐다.

프로젝트 운영진에 의하면, 페도라 아사히 프로젝트는 2021년 시작됐으며, 본격적인 작업은 아치 ARM 출시와 함께 시작됐다. 운영진 측은 페도라 아사히 리믹스 출시 전 마지막 단계에 와 있다고 밝혔다.

새로운 아사히리눅스 배포판은 업스트림 우선이다. 기존의 배포판 개발 체계를 활용하게 되면서 하드웨어 리버스 엔지니어링과 맞춤형 드라이버, 소트프웨어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운영진은 설명했다.

현재 아사히 페도라 리믹수는 모든 M1 기반 맥 제품과, M2 기반 노트북을 지원한다.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도 이용할 수 있다. 스피커, 카메라, 비디오, 버스 등의 기능은 개발중이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zdnet.co.kr/view/?no=20230807092040

How-To : 윈도우 11에서 ‘알렉사’ 사용하는 방법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11에서 ‘코타나’를 퇴출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를 밟고 있다. PC에 알림 설정, 음악 재생 또는 스마트 홈 제어를 계속 요청할 수 있도록 코타나의 대안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 지원하며, 다양한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알렉사(Alexa)’가 적격이다. 

알렉사 앱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검색 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마이크로소프트 웹사이트에서 알렉사 페이지를 열고 ‘스토어 앱에서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팝업이 나타나면 받기를 클릭해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앱을 열면 알렉사가 할 수 있는 작업을 보여주는 요약 화면이 표시된다. 왼쪽 및 오른쪽 화살표를 클릭해 살펴볼 수 있다. 시작하기를 누른다. 

첫 번째로 소개할 알렉사의 기능이자 유용한 기능 중 하나는 다른 앱을 열지 않고도 좋아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알렉사 앱을 사용하면 좋아하는 라디오 채널, 오디오북, 음악을 모두 한곳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단,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에코 스마트 스피커는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앱 자체는 아마존 뮤직(Amazon Music)과 오더블(Audible)로 제한돼 있다.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또는 다른 오디오북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스마트 홈 관리
에코 스피커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PC에서도 알렉사 음성 명령을 활용해 스마트 조명, 스마트 온도 조절기, 로봇 청소기, 스마트 커피메이커 등 모든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간단한 음성 명령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트리거하는 것 외에도 윈도우 11용 알렉사 앱에서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단, 새로운 스마트 홈 기기를 추가하려면 모바일 알렉사 앱을 써야 한다.

• 커뮤니케이션 탭으로 모든 기기 연결

출처 : https://www.itworld.co.kr/howto/304351#csidx79fce7e94c4167b95585798d1b81a6f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22

‘몬스터 헌터 나우’, 사전예약자 200만 돌파

나이언틱은 8월 22일 ‘몬스터 헌터 나우’의 사전예약자가 2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사전예약자 200만 명을 돌파한 기념으로 사전 등록 특전 페이스페인트와 아이템 박스 확장 500개가 제공된다. 또한, 동시에 300만 명을 돌파했을 때 받을 수 있는 페이스페인트의 디자인도 공개됐다. 이는 사전등록을 시작한 7월 27일 이후 약 한 달에 걸쳐 이뤄낸 성과다. 현재 발매일인 9월 14일까지 남은 300만 명을 채워 모든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팬들의 이목이 집중 되고 있다. 

‘몬스터 헌터 나우’는 캡콤의 인기 IP인 ‘몬스터 헌터’시리즈의 라이센스를 활용해 ‘포켓몬GO’로 유명한 나이언틱이 제작한 증강현실 기반 게임이다. 유저는 증강현실을 통해 현실 세계에 나타난 몬스터들을 물리치는 헌터가 된다. 특히, 채집 및 사냥을 통한 무기 강화라는 기본적인 컨셉은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팬들이라면 쉽게 익숙해 질 것으로 보인다. 그와 동시에 강력한 몬스터에는 다른 유저들과 동시에 사냥할 수 있는 기능 등 ‘포켓몬GO’에 익숙한 유저들도 쉽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친숙한 몬스터들과 무기들이 나올 예정이라 시리즈 팬들이라면 더 즐겁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나이언틱은 ‘몬스터 헌터 나우’에 관한 최신 정보 및 체험 등은 게임스컴202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03

2023/08/19

엑스로그-티맥스티베로, 제품 연동 및 공급 협력

엑스로그가 티맥스티베로와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ISV) 계약을 체결했다고 8월 18일 밝혔다.

엑스로그와 티맥스티베로는 이번 계약으로 데이터 이관 및 복제 솔루션과 데이터베이스(DB) 제품을 연동하고, 공동 판매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며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이번 계약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을 지원하고, 증가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고객이 IT 인프라와 데이터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자 체결됐다. 

엑스로그는 실시간 DB 동기화 솔루션인 ‘엑스로그 포 CDC(X-LOG for CDC)’와 이기종 DBMS간 초기 이관 솔루션 ‘엑스로그 포 IDL(X-LOG for IDL)’ 및 데이터 생명주기 관리 솔루션 솔루션 ‘엑스로그 포 ILM(X-LOG for ILM)’을 공급하는 데이터 관리 전문 기업이다. 

장석주 엑스로그 대표는 “당사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의 DB 제품 복제와 이관이 가능하며, 특히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는 티맥스티베로 DB 제품 연동에 있어 독보적인 기술과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번 계약은 기존 외산 DB를 사용하던 고객이 티맥스티베로 DB로 윈백하거나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큰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엑스로그는 증가하는 데이터 이관 및 복제 솔루션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자 다양한 기업들과 연동 및 공급 계약을 확대하는 한편, 고객지향적 제품 공급으로 해당 시장 규모를 키워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nk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44

디렉터리 버스팅을 위한 5가지 최고의 Linux 도구

웹 서버에서 숨겨진 디렉토리와 파일을 열거하기 위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찾고 계십니까? 디렉토리 버스팅을 위한 최고의 Linux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디렉터리 버스팅이란 무엇입니까?

“디렉토리 무차별 대입”이라고도 하는 디렉토리 버스팅은 웹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숨겨진 디렉토리 및 파일을 발견하기 위해 윤리적 해킹에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름을 추측하거나 공통 디렉토리 및 파일 이름 목록을 통해 열거하여 다른 디렉토리에 체계적으로 액세스하려는 시도가 포함됩니다.

디렉토리 버스팅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는 자동화된 도구 또는 스크립트를 사용하고 다른 디렉토리 및 파일 이름을 시도하여 웹사이트의 탐색 또는 사이트맵에 명시적으로 링크되거나 광고되지 않은 리소스를 찾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디렉터리 버스팅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백 가지의 무료 도구가 있습니다. 다음 침투 테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무료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더브

DIRB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디렉토리를 검색하고 무차별 대입하는 데 사용되는 널리 사용되는 Linux 명령줄 도구입니다. 웹 사이트 URL에 대한 단어 목록에서 가능한 디렉토리를 열거합니다.

DIRB는 Kali Linux에 이미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설치하려면 간단한 명령만 있으면 됩니다.

Debian 기반 배포판의 경우 다음을 실행합니다.

출처: https://www.makeuseof.com/best-linux-tools-for-directory-bursting/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17

윈도우 11 최신 KB5029263 업데이트, 일부 PC서 설치 멈춤 문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최근 배포한 8월 패치 업데이트(KB5029263)가 일부 PC에서 설치 중 멈추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고 해외 매체 windows lates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부 사용자들은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설치시 업데이트 설치에 실패했다는 알림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사용자는 누적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96%에서 멈추는 과정이 반복되며 재부팅을 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이밖에 ▲업데이트 설치 후 탐색기에서 폴더 및 파일이 열리지 않는 버그 ▲MS 디펜더 로그인 문제 ▲서피스 프로 X에서 스냅드래곤 X24 LTE 모뎀에 액세스할 수 없는 버그들도 전해지고 있다.

한편, 윈도우 11 8월 업데이트는 오랫동안 사용자들을 괴롭혀왔던 SSD 성능 저하 버그를 수정했으며 특정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기기를 손상시키는 문제, 위젯과 가상 사설망(VPN)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수정됐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kbench.com/?q=node/246599

"올해는 뭐 없나"… 게임업계 '광복절 외면' 배경은

어린이날(5월 5일), 광복절(8월 15일), 발렌타인데이(2월14일) 등 국경일 및 공휴일, 기념일이 찾아올 때마다 풍성한 혜택을 강조한 다양한 이벤트·프로모션을 앞다퉈 홍보하며 신규·복귀 유저 사로잡기에 나섰던 국내 게임사들이 올해 광복절을 앞두고는 조용한 분위기다. 

대대적인 광복절 이벤트가 펼쳐졌던 2021년과 비교했을 때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으로 관련 행사가 뜸한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일본과 외교적인 영역에서 분위기가 달라진 여파가 없지 않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례로 넥슨의 인기 IP ‘블루 아카이브’ 유저들은 “광복절에 별도의 이벤트가 없는 것은 아쉽다”면서 “일본은 패전일인 만큼, 일본 서버와 유저들을 의식해 광복절을 기념하는 아이템이나 프로모션 등을 자제하는 것 같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14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검은사막’ IP로 최근 조선 배경의 ‘아침의 나라’를 선보이는 등 활발한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는 펄어비스를 제외한 여타 게임사들은 특별한 이벤트를 진행하지 않고 조용히 공휴일을 맞이하는 분위기다.

펄어비스 관계자는 “한국의 아름다움과 문화를 게임에 담아 글로벌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검은사막과 태극기를 활용한 제품으로 유명한 라카이코리아가 광복절을 맞이해 손을 잡았다”면서 “검은사막은 조선을 배경으로 한 신규 대륙 ‘아침의 나라’를 선보이며 메타크리틱 81점을 받는 등 글로벌에서 K게임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카이코리아는 한국 문화를 바로 알리기 위해 뉴욕 타임스퀘어 옥외광고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펄어비스는 광복절인  15일 오전 8시 15분부터 라카이코리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검은사막 X 라카이코리아 광복절 패키지를 판매한다. 패키지 상자 외관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남상락 자수 태극기’를 활용해 나라 사랑 의미를 더했다는 것이 펄어비스 측 설명이다.

출처: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30814500233#_mobwcvr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16

상반기 97억원 번 남궁훈 카카오 前 대표, IT 연봉킹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가 올해 상반기 IT(정보기술)·통신·게임업계 경영진 가운데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IT·통신·게임업계 반기보고서를 종합하면, 남궁 전 대표는 상반기 96억83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았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 이익이 94억3200만원에 달했다. 급여와 기타 근로소득은 각각 2억5천만원, 100만원이다.

남궁 전 대표는 지난해 3월 카카오 대표로 취임했지만, 같은 해 10월 데이터센터(IDC) 화재에 의한 대규모 서비스 중단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난 바 있다.

그는 올해 초부터 김범수 창업자가 센터장을 맡고 있는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의 상근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음달부터는 모교인 서강대에서 초빙교원 자격으로 강단에 오를 예정이다.

카카오 현직 대표인 홍은택 총괄 대표는 6억400만원을, 배재현 투자총괄대표는 11억5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네이버에서는 최수연 대표가 10억4200만원을, 채선주 대외·ESG정책 대표가 7억3100만원을 지급받았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12억4800만원을 받았다.

통신 업계에서는 구현모 전 KT 대표이사가 상반기 29억9500만원을 받아 가장 많은 보수를 지급받았다. 그는 급여로 2억5700만원, 상여로 7억7800만원, 기타 근로소득으로 2500만원을 받았고, 퇴직 소득으로 19억3500만원을 챙겼다.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로 내정됐다가 중도 하차한 윤경림 전 KT 사장도 8억12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았다. 박종욱 대표이사 직무대리는 7억51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SK텔레콤에서는 유영상 대표이사가 상반기 14억5900만원을, 미등기 임원인 서진우 SUPEX추구협의회 중국대외협력총괄이 25억3700만원을 받았다.

LG유플러스 황현식 사장은 10억5800만원을, 이혁주 전 부사장은 25억5100만원을 상반기에 지급받았다. 이 전 부사장의 경우 퇴직소득 19억5400만원이 포함됐다.

게임 업계 CEO 가운데에서는 크래프톤의 김창한 대표가 올 상반기 32억7600만원의 보수를 수령해 연봉 1위에 올랐다. 여기에는 급여 4억8100만원, 인센티브 및 자기주식 등 상여 27억9500만원이 포함된다.

엔씨소프트 창립자인 김택진 대표는 올 상반기 급여 12억8000만원에 상여 13억5000만원 등 총 26억3600만원의 보수를 받아 김창한 대표의 뒤를 이었다.

카카오게임즈 조계현 대표는 급여 4억5000만원, 상여 11억원 등 총 15억5100만 원의 연봉을 받았다.

지난해 약 173억 원에 달하는 보수를 받아 게임업계 ‘연봉 킹’에 등극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올 상반기 급여 5억원만 수령했다. 창립자인 박관호 의장은 급여 8억원을 받았다.

이밖에 넷마블 창립자인 방준혁 의장은 이 기간 7억32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3081519232033168

2023/08/15

오라클·수세·CIQ, 오픈ELA 결성…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소스코드 무료 제공

오라클, 수세, CIQ가 새로운 오픈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소스코드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손을 잡았다. 레드햇엔터프라이즈리눅스(RHEL)와 호환되는 배포판을 만들 수 있는 소스코드를 확보해 외부에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13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오라클과 수세, CIQ 등은 ‘오픈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어소시에이션'(OpenELA)을 구축하기로 했다. 무료로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소스코드를 제공해 RHEL과 호환되는 배포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업계는 오픈ELA을 레드햇이 RHEL 소스코드를 더 이상 일반 대중에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라고 보고 있다. 앞서 레드햇은 지난 6월 계약 고객과 파트너에게만 소스코드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오픈ELA는 단순히 오픈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걸 넘어 오픈소스 정신을 유지하고, 모든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다운스트림 배포판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오픈ELA는 모든 조직에서 자유롭게 소스코드에 접근할 수 있는 공개 프로세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별도의 바이너리 배포판을 만들지 않아 누구든 소스코드에서 자체 배포판을 만들 수 있다. 

출처 : https://m.ddaily.co.kr/page/view/2023081416245691617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12

윈도우 11, 타사 블로트웨어 없이 설치하는 이상한 버그 발견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 11 운영체제(OS)에 타사 블로트웨어 없이 OS를 설치할 수 있는 이상한 버그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윈도우 11을 설치하면 캔디 크러쉬(Candy Crush) 및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등 성가신 블로트웨어가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해외 매체 Windows Latest 보고서에 따르면 설치 화면에서 간단한 클릭만으로 블로트웨어 없이 OS 설치가 가능하다.

.ISO 이미지 파일 또는 설치 미디어(Media Creation Tool)를 통해 윈도우 11을 설치하면 기본 파티션, 언어, 키보드 또는 입력 방법, 시간 등 몇 가지 질문이 있는 파란색 배경 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지역을 English(World) 또는 European English로 설정하면 윈도우 11에 캔디 크러쉬 및 기타 앱 등 모든 블로트웨어가 설치되지 않는다.

매체는 “윈도우 11 설치 프로그램과 MS의 인터넷 기반 OOBE(Out Of Box Experience)가 세계 영어(en-001) 및 유럽피언 영어(en-150)에 대한 고유한 언어 코드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버그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버그로 인해 이 두 지역 중 하나를 선택하면 윈도우 11 설지 충 PC가 서버와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설치 과정에서 오류 메시지가 표시되더라도 “건너뛰기” 버튼을 클릭하고 무시하면 된다.

다만, 윈도우 11을 설치한 후 지역을 올바른 지역으로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MS 스토어와 같은 일부 서비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외신은 전했다.

한편, MS는 현재 이 버그를 인지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출처 : https://kbench.com/?q=node/246430

위 포스팅이 문제 있을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11

카카오게임즈, 프렌즈팝 8주년 기념 이벤트 실시

카카오게임즈는 11일, 모바일 퍼즐 게임 프렌즈팝의 8주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전했다. 서비스 8주년을 맞은 프렌즈팝은 카카오 IP를 활용한 첫 3매치 퍼즐게임이다. 

먼저, 오는 29일까지 게임에 접속한 전원에게 5~6성 캐릭터 획득 티켓 16장을 포함, 다양한 인게임 아이템을 선물한다. 또 매주 진행되는 미션형 이벤트로 8주년 한정 캐릭터 토이 나라 프렌즈를 제공한다. 외에도 이벤트 기간동안 특정 횟수 이상 퍼즐을 플레이하면 카카오톡 이모티콘 ‘쇼팽이의 평범한 하루‘도 지급한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오랜 시간 변함없는 사랑을 보내주신 이용자분들께 감사함을 전달하고자 특별한 8주년 이벤트를 계획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편의 기능 개선과 다채로운 콘셉트의 퍼즐 스테이지 및 캐릭터 업데이트를 이어 나가며 이용자분들의 출퇴근 시간 등 틈새 시간을 즐겁게 만들겠다”고 말했다. 

프렌즈팝 8주년 이벤트에 대한 내용은 공식 커뮤니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 포스팅이 문제 있을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740112

2023/08/10

아마존 “상품설명 쓰기 어렵다면, 생성형 AI가 도와드려요”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입점 중소상공인들의 상품 설명 작성을 돕는 데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미국 정보기술(IT)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아마존이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상품설명 초안 자동작성 기능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아마존은 현재 일부 판매자들에게 해당 기능을 시범적으로 사용해보도록 하고 있다.판매자들이 새로 등록하려는 상품의 주된 특징을 키워드 형태로 입력하면,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가 상품명과 상품설명 등을 대신 작성해주는 방식이다. 아마존 대변인은 디인포메이션에 “판매자들이 최소한의 노력만으로 상품 리스트와 상세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새 인공지능 기능을 실험 중인 게 맞다”고 밝혔다.디인포메이션은 “판매자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해 상품 설명 작성에 드는 시간을 아낄 수 있게 된다면 아마존에서 인기있는 브랜드를 월마트, 쉐인 등에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또 더 나은 상품 설명이 판매량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아마존이 새 기능 개발에 어떤 초거대언어모델을 사용하고 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앤드류 제시 아마존 최고경영자는 최근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모든 사업 분야에서 복수의 생성형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출처 :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103835.html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스팀 하드웨어 보고서 "리눅스 사용자, 맥 넘었다"

리눅스로 스팀을 플레이하는 사용자가 애플 맥 사용자를 넘어섰다. 스팀의 월간 하드웨어 보고서 결과다.

여전히 대다수는 윈도우 PC를 사용하지만 리눅스 사용자(1.96%)가 맥 사용자(1.84%)를 넘어선 것은 일종의 사건이다.

물론 맥은 게임을 진지하게 대하는 사용자의 첫 번째 선택이 아니지만, 리눅스 운영체제조차도 맥 점유율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이유는 아마도 밸브가 만든 모바일 게임 기기 스팀 덱 때문일 것이다.

스팀 덱은 커스텀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스팀 OS에서 실행되며 지난 1년 간 집중적으로 홍보되었다.

전체 관점에서는 아직 미미한 점유율이지만 게임 분야에서 애플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는 사실을 잘 반영한 것이다.

애플이 직접 개발한 M1와 M2 칩의 게임 성능은 훌륭하지만, 게이머가 맥을 고려할 수 있으려면 맥OS용으로 출시되는 게임 수를 더 늘릴 필요가 있다.

물론 엔비디아 지포스 나우 같은 게임 전문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위 포스팅이 문제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news/302275

2023/08/08

MS, 윈도우 11 CPU 지원 목록 업데이트.. 44개 구형 인텔 CPU 지원 종료

마이크로소프트(MS)가 윈도우 11 운영체제(OS)의 CPU 지원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구형 인텔 CPU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고 외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에 지원이 중단된 CPU는 총 44개로 모두 서버에 사용되는 제온(Xeon) CPU다. 모두 8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인텔 커피 레이크(Coffee Lake)를 기반으로 한다.

서버에 사용되는 CPU인 만큼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영향이 없겠지만, 외신은 “너무 많은 CPU가 한 번에 지원 종료된 것은 의심 스럽다”면서 MS 측의 실수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지원이 중단된 인텔 제온 CPU는 아래와 같다.

인텔 제온 E-2104G

인텔 제온 E-2124

인텔 제온 E-2124G

인텔 제온 E-2126G

인텔 제온 E-2134

인텔 제온 E-2136

인텔 제온 E-2144G

인텔 제온 E-2146G

인텔 제온 E-2174G

인텔 제온 E-2176G

인텔 제온 E-2176M

인텔 제온 E-2186G

인텔 제온 E-2186M

인텔 제온 E-2224

인텔 제온 E-2224G

인텔 제온 E-2226G

인텔 제온 E-2226GE

인텔 제온 E-2234

인텔 제온 E-2236

인텔 제온 E-2244G

인텔 제온 E-2246G

인텔 제온 E-2254ME

인텔 제온 E-2254ML

인텔 제온 E-2274G

인텔 제온 E-2276G

인텔 제온 E-2276M

인텔 제온 E-2276ME

인텔 제온 E-2276ML

인텔 제온 E-2278G

인텔 제온 E-2278GE

인텔 제온 E-2278GEL

인텔 제온 E-2286G

인텔 제온 E-2286M

인텔 제온 E-2288G

인텔 제온 E-2314

인텔 제온 E-2324G

인텔 제온 E-2334

인텔 제온 E-2336

인텔 제온 E-2356G

인텔 제온 E-2374G

인텔 제온 E-2378

인텔 제온 E-2378G

인텔 제온 E-2386G

인텔 제온 E-2388G

출처 : https://kbench.com/?q=node/246279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07

CFK, BIGS 2023에 출시 예정 인디게임 3종 출품

CFK는 7일, 오는 10일부터 열리는 방구석 인디 게임쇼 2023(이하 BIGS 2023)에 게임 3종을 출품한다고 밝혔다. 방구석 인디 게임쇼는 코로나로 인해 홍보가 힘든 인디 게임사 지원을 위한 네오위즈의 온라인 게임쇼다.

CFK는 BIGS 2023에서 ▲하이퍼 닌자 액션 ‘닌자 일섬’, ▲아서왕 기반의 로그라이크 덱 빌딩게임 ‘아키타입 블루’, ▲마을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일을 추리하는 ‘커넥티드 클루’ 등 총 3종을 출품한다.

연내 출시를 앞둔 닌자 일섬은 국내 1인 인디게임 개발자 아스테로이드제이가 개발한 액션게임이다. 가상의 미래 도시 속 사이버펑크 분위기와 일 대 다로 벌어지는 속도감 있는 닌자 액션이 특징이다.

국내 인디 게임사 코드네임봄이 개발한 아키타입 블루는 중세 세계관 속에서 동료와 함께 힘을 합쳐 역경을 극복하는 내용을 담았다. 일반적인 수치 외에도 정신력과 명성치 개념이 포함돼 있어 동료와의 관계 유지가 전투력에 영향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알페라츠*(Alpheratz*)가 개발한 커넥티드 클루는 비주얼 노벨 스타일의 추리게임이 아닌, 직접 무대를 돌아다니며 탐구하는 것이 특징인 추리 어드벤처다. 플레이어는 탐정 ‘다이애나’로서 조사, 미행, 잠입 등을 진행하며 진실에 다가가야 한다.

위 포스팅이 문제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739947

2023/08/05

“맥OS 소노마 화제의 신기능” 바탕화면 위젯을 설정하는 방법

올가을 출시 예정인 맥OS 최신 버전 소노마(Sonoma)의 주요 변화 중 하나가 데스크톱(바탕화면)에 위젯을 추가하는 기능이다.

메뉴 바에서 시간을 클릭해 위젯 슬라이드를 띄워도 곧 사라지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소노마에서는 위젯을 데스크톱 어디에든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는 맥을 사용하는 동안 언제든 이 위젯을 볼 수 있다.

새 위젯 배치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에 언제든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

데스크톱에 위젯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위젯 편집하기 : 맥OS 소노마를 처음 설치하면, 예전과 마찬가지로 메뉴의 날짜와 시간을 클릭해 위젯을 찾을 수 있다. 이제 사이드바가 나타나면 여기서 새로운 데스크톱 위젯 탭을 찾아 클릭하면 된다. 이 탭이 보이지 않으면 사이드바 하단의 위젯 편집하기를 클릭한다. 또는 파인더에서 컨트롤-클릭한 (혹은 트랙패드에서 두손가락 탭)  후 팝업 메뉴에서 위젯 편집하기를 선택해도 된다.

위젯 선택하기 : 이제 화면 하단에서 위젯 브라우저가 나타난다. 원하는 위젯을 고르고, 해당 위젯을 다양한 크기와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위젯은 다른 도시의 시간을 보여주거나 세계 시계를 보여주도록 선택할 수 있다.

위젯 배치하기 : 위젯을 배치하려면, 클릭한 후 드래그해 데스크톱의 원하는 곳에 놓으면 된다. 또는 일단 클릭하면 자동으로 데스크톱의 상단 왼쪽에 나타나는데, 그 이후 클릭해 원하는 위치로 옮기면 된다.

위젯 맞춤 설정하기 : 위젯을 배치했으면 이제 입맛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

– 클릭 후 드래그해 옮길 수 있다.
– 위젯을 컨트롤-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크기를 조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일부 위젯은 클릭해서 앱을 실행할 수 있고, 클릭하면 확장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팟캐스트 같은 위젯은 제어 기능이 포함돼 있어서 전체 앱을 열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파일과 폴더 혹은 데스크톱에 있는 다른 아이템을 드래그해 위젯 위에 올려 놓으면

맥OS는 배치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데스크톱 공간에 해당 아이템을 배치한다.

위젯의 앱에서 파일을 실행하지 않는다.

  1. 데스크톱 및 독에서 위젯 설정하기 : 데스크톱 및 독 시스템 설정에 가면 몇 가지 유용한 옵션이 있다.
  • 위젯 보여주기 : 모든 위젯이 데스크톱에 보이는 것이 싫다면 데스크톱 섹션에서 스위치로 끄고 켤 수 있다.
  • 위젯 스타일 : 위젯 섹션에서 위젯의 색상 관련된 여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 자동 : 풀컬러와 모노크롬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다. 파인더를 실행하면 위젯이 풀컬러로 나타난다.
  • 다른 앱을 사용할 때는 모노크롬으로 흐려지고 백그라운드에서 파인더를 볼 수 있다.
    – 모노크롬 : 위젯이 항상 흐릿하게 보인다. 파인더에서도 마찬가지다.
    – 풀컬러 : 항상 풀컬러로 보인다. 위젯이 백그라운드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 아이폰 위젯 사용하기 : 아이폰 위젯을 사용할지 허용 혹은 차단하는 기능이다. 위젯에서 최신 정보를 보여주려면 아이폰이 같은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있거다 맥과 가까이 있어야 한다.

한편, 데스크톱을 여러 개 사용한다면 위젯이 모든 데스크톱에 똑같이 노출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션 컨트롤에서 두번째 데스크톱을 생성했다면, 2개 데스크톱을 전환할 때마다 위젯이 사용자를 따라 다닌다. 현재 소노마 베타 버전이 나온 상태인데, 이 버전에서도 젯을 특정 데스크톱에 배치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howto/300109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04

일렉트로비트 오토사(AUTOSAR)·리눅스 소프트웨어, NXP S32G3 시리즈 프로세 서 지원

일렉트로비트가 최신 오토사(AUTOSAR) 표준 기반의 자동차 전자 제어 장치(ECU)를 개발하고

NXP® 반도체의 새로운 S32G3 차량 네트워크 프로세서에 대한 리눅스 솔루션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공개했다.

S32G3 시리즈 프로세서는 성공적인 S32G2 시리즈 프로세서와 패키지 핀아웃 및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처리, 메모리 및 네트워킹 기능을 두 배 이상 향상시킨다.

자동차 제조사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위한 통합 도메인 및 영역 아키텍처로 전환함에 따라

NXP S32G3 하드웨어와 일렉트로비트의 EB 트레소스(EB tresos) 및 EB 코르보스(EB corbos) 소프트웨어의 강력한 조합은

이러한 복잡한 아키텍처의 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생산 차량의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시킨다.

NXP의 차량 제어 및 네트워킹 솔루션 부문 글로벌 마케팅 이사인 브라이언 칼슨(Brian Carlson)은

“NXP는 S32G3의 안전한 고성능 차량 네트워크 프로세서 지원을 위해 일렉트로비트와 오랜 협력을 지속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NXP의 S32G3 프로세서와 일렉트로비트의 EB 트레소스 및 EB 코르보스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차세대 아키텍처에서 중앙 차량 컴퓨터 및 안전 프로세서를 위한 고급 기능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자동차 제조업체를 위해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NXP S32G3 차량 네트워크 프로세서는 영역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의 중앙 차량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이전 세대 프로세서와 동일한 확장성 및 핀아웃으로 AD/ADA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 ASIL D 안전 처리를 제공한다.

일렉트로비트 제품 및 전략 관리 책임자 겸 부사장 마이클 로버트슨(Michael Robertson)은 “새로운 NXP S32G3가 차세대 아키텍처에 이상적이며,

광범위한 오토사 호환 소프트웨어 제품군과 우분투 기반의 새로운 EB 코르보스 리눅스 (EB corbos Linux)로 기능을 확장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양사가 함께 자동차 제조업체와 공급업체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에 필요한 복잡한 시스템을 더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NXP S32G3을 지원하는 일렉트로비트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다음과 같다.

▲EB 트레소스 오토코어(EB tresos AutoCore) – 애플리케이션이 S32G3 하드웨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 ECU용 클래식 오토사(Classic AUTOSAR) 호환 기본 소프트웨어(BSW)의 선도적인 구현

▲EB 트레소스 오토코어 OS(EB tresos AutoCore OS – 오토사 표준 및 모든 확장 클래스(Scalability Class)를 구현하는 임베디드, 멀티코어, 실시간 운영 체제

▲EB 트레소스 세이프티(EB tresos Safety) – ISO 26262 표준과 최고 수준의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인 ASIL D에 따라 개발되고 통합된 ECU 소프트웨어

▲EB 트레소스 세이프티 OS(EB tresos Safety OS) – 혼합 ASIL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안전 기능과 오토사 멀티코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유연성을 결합한 안전한 실행 환경

▲EB 코르보스 어댑티브코어(EB corbos AdaptiveCore) – 안전한 고성능 컨트롤러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반, 유연하고 확장성이 있으며 자동차 산업의 변화하는 규제에 대한 적응뿐 아니라 업계의 새로운 AUTOSAR Adaptive Platform에 따라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제공

▲우분투 기반의 EB 코르보스 리눅스(EB corbos Linux) – 고성능 컴퓨팅에 최적화된 오픈 소스 운영 체제

출처 : https://kr.aving.net/news/articleView.html?idxno=1782322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03

윈도우 볼륨 조절 오버레이 창 만들어주는 프리웨어 3RVX 활용하기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윈도우에는 전통적으로 스피커 소리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는 키보드 단축키가 없었다.

물론 대부분의 노트북에는 볼륨 조절 버튼이 있고, 별도 키보드도 볼륨 단축키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계식 키보드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별 수 없이 윈도우 화면에서 볼륨 슬라이더를 찾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 경우에 유용한 것이 3RVX다. 윈도우용 프리웨어인 3RVX는 자신만의 키보드 단축키를 만들어 화면에 오버레이 형태로 띄울 수 있다. 

윈도우에서 직접 볼륨 단축키 만들기

3RVX를 설치하려면 개발사 웹사이트를 방문해 최신 버전의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3RVX를 실행한다. 작업표시줄 하단에 하얀색 볼륨 아이콘이 나타난다. 마우스 우클릭으로 설정을 선택하고 메뉴를 연다.

윈도우 시작 시에 자동 실행을 활성화하려면 옵션 상자에 체크한다. 

단축키 탭을 누르고 다음 순서대로 볼륨 바로가기를 만든다.

  • + 버튼을 누른다.
  • 키 옆의 빈 영역을 클릭한다.
  • 볼륨을 낮출 때 사용하고 싶은 단축키를 입력한다.
  • 액션 옆 드롭다운 상자를 클릭하고 볼륨 감소(Decrease Volume)를 선택한다.
  • + 버튼을 다시 누른다.
  • 키 옆의 빈 영역을 클릭한다.
  • 볼륨을 높일 때 사용하고 싶은 단축키를 입력한다.
  • 액션 옆 드롭다운 상자를 클릭하고 볼륨 높임(Increase Volume)을 선택한다.
  • 적용을 클릭한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news/301903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3/08/02

서울시 직업계고 학생 대상, 게임개발대회 참가자 모집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주최하고 미래콘텐츠재단이 주관하는 2023 제4회 직업계고 IT분야 취업UP 게임개발대회가 8월 2일부터 온라인 접수를 받는다.

이번 대회는 게임 분야에 관심 있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교육 활동 확보와 직업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과 미래콘텐츠재단이 협업해 올해 4회차를 맞았다.

서울시 소재 80개 직업계고 학생은 자유롭게 팀을 구성해 기획안 작성부터 코딩까지 게임 개발 프로젝트 전반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게임 개발자 선배 멘토링을 통해 다양한 실무 지식을 후배들에게 전달한다.

참가를 희망하는 직업계고 학생들은 최대 5인 팀을 구성해 2일부터 참가신청할 수 있다. 신청한 팀은 게임 개발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소양, 저작권 관련 온라인 강의를 이수한 뒤 개발하고자 하는 게임 기획안을 8월 24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이에 대한 평가로 예심을 거쳐, 본선에 진출할 10개 팀을 9월 1일 발표한다.

이후 각 팀은 한국게임개발자협회 소속 현직 게임 개발자와 멘토링 과정을 통해 최종 버전을 출품하며, 10월 13일 한국게임전문미디어협회 기자단 현장 심사 및 시연을 거쳐 최종 수상작을 결정한다.

본선 경연을 펼친 10팀 중 높은 평가를 받은 순서대로, 대상, 금상, 은상, 동상 각 1팀 및 장려상 3팀에 장학금과 상장이, 특별상 3팀에는 상장이 수여된다.

미래콘텐츠재단 측은, “어느덧 4회차를 맞이한 이번 대회가 게임을 사랑하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창의적인 교육 활동으로 풍부한 경험과 실질적인 직업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면서 “더 나은 행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만들어가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739791

문제가 될 시 삭제 하겠습니다.

2023/08/01

AMD 라데온 튜닝 가이드 : 그래픽 카드를 최적화하는 6가지 방법

AMD의 라데온 RX 7000 시리즈 그래픽 카드(그리고 이전 세대 RX 6000 시리즈)는 완전히 다른 수준의 인상적인 성능, 특히 게이밍 성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약간만 손을 보면 더 폭발적인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여기서는 RDNA 그래픽 아키텍처를 최적화하고 가속해 AMD 최신 그래픽 카드에서 성능과 효율, 이미지 표현 품질을 더 개선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오버클럭으로 더 빠르게

PC의 그래픽 카드를 오버클럭하고 싶다면 시작부터 대답을 모르는 수많은 질문에 부딪힐 것이다. 오버클럭에 성공하려면 기본적인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오버클럭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오버클럭하려는 그래픽 카드의 정확한 제품 종류와 클럭 대역폭 같은 기술적 사양을 알고 있어야 한다. 필자는 900달러짜리 라데온 RX 7900 XT를 사용했다.

우선 대상 GPU 제품 페이지(또는 제품 설명서)를 열고 오버클럭과 관련된 모든 사양을 확인한다. 테크파워업(TechPowerUp)이 만든 GPU-Z라는 소프트웨어도 설치해야 한다. 기본 클럭, 게임 클럭, 부스트 클럭과 메모리 클럭 등의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무료 프로그램이므로 비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GPU-Z를 통해 확인한 라데온 RX 7900 XT 정보는 다음과 같다. 

  • 기본 클럭 1.900MHz  
  • 최대 부스트 클럭 2.400MHz 
  • 평균 게임 클럭 2.300MHz
  • 20Gbps 속도의 16GB GDDR6 메모리(10GHz) 

오버클럭의 목표는 부스트 클럭 최대 한도를 높임으로써 게임 시 평균 게임 클럭을 개선하고, 여기에 더해 메모리 클럭을 높여서 메모리 대역폭도 최대화하는 것이다. 라데온 그래픽 카드 사용자는 MSI의 애프터버너 같은 서드파티 도구 말고 통합 오버클럭 기능을 지원하는 공식 소프트웨어인 아드레날린 에디션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영상에서 오버클럭 기능이 자세히 동작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버클럭하면 공장 설정보다 최대 10~15% 더 높은 성능(또는 초당 프레임)을 기대할 수 있다. 

중요한 점 : GPU를 오버클럭하거나 언더볼팅함으로써 그래픽 카드의 열 방출이나 전력 소비 같은 중요한 변수가 변할지도 모른다. 전압을 부정확하게 설정하면 PC가 불안정해질 뿐 아니라 GPU에 영구적인 손상을 남길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하자. 오버클럭은 대부분 사용자의 생각처럼 위험하지는 않다. 하지만 AMD가 제공하는 가이드를 꼭 따르도록 하자.


언더볼팅으로 효율 높이기

GPU 제조업체는 그래픽 카드의 공장 설정에 항상 안전 보호대를 넣어 둔다. 필요한 것보다 약간 많은 전압을 적용해 최대로 구현할 수 있는 안정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대부분 라데온 그래픽 카드의 전압은 특정한 범위 안에서라면 약간 낮춰도 충돌이나 불안정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버클럭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변화 정도는 개개인이 사용하는 GPU의 개별 칩 성능에 따라 다르다. 

오버클럭이 성능을 좇아 가속 페달을 밟는 것이라면, 언더볼팅의 목표는 그래픽 카드가 성능은 비슷하게 내되 전력을 조금 덜 사용하고 발열까지 줄이는 것이다. 언더볼팅의 장단점과 방법은 ‘“전력-클럭 최적 비율 찾기” GPU ‘언더볼팅’ 장단점 7가지’와 ‘엔비디아·AMD 그래픽 카드를 언더볼팅하는 방법 4단계’를 참고하자.

RX 7900 XT의 경우 정격 전압은 1.150V이고 그래픽 카드 클럭이 크게 낮아지기 전에 0.975~1.025V까지 낮출 수 있다.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일명 ‘스윗스팟’이라고 불리는 지점을 발견해야 한다. 

라데온 카드에 적합한 오버클럭과 언더볼팅을 탐험하고 결합했다면 그래픽 카드는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더 발열이 적게 이상적으로 동작할 것이다. 


스트레스 테스트로 안정성 개선하기 

그래픽 카드 오버클럭과 언더볼팅 결과를 부하가 많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다음의 벤치마크와 안정성 테스트를 추천한다.  

GPU와 VRAM의 부하(특히 부하가 정점을 찍을 때)는 인공 스트레스 테스트와 실제 게임에서 각기 다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좋아하는 게임 몇 가지를 직접 플레이해 안정성을 확인해야 한다. 이상적인 결과는 절대적인 안정성으로 운영되는 더 빠르고 효율 높은 그래픽 카드일 것이다. 더 깊이 파고들고 싶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래픽 카드를 벤치마크 하는 방법’을 참고하자. 


업스케일링으로 더욱 아름답게 

더 높은 해상도에서 게임을 즐기고 이미지 품질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사용자는 때때로 그래픽 카드의 원시 성능이 4K나 울트라와이드 모니터 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러나 AMD는 여기에 대한 대안을 마련했다.

AMD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은 우선 내부에서 저해상도로 이미지를 계산하고 그 후 소프트웨어 업스케일링 과정을 사용해 사용자의 모니터 해상도에 맞게 확대(업스케일)하는 기능이다.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하지 않아도 FSR을 지원하는 게임에서는 프레임률과 프레임 시간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다음 영상을 통해 FSR 2.2를 지원하는 오픈월드 레이싱 게임 ‘포르자 호라이즌 5(Forza Horizon 5)’에서 해당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AMD는 FSR 2가 게임의 프레임률을 개선하고 네이티브 이미지 품질보다 더 낫거나 비슷한 최종 이미지에서 가능한 최상의 이미지 품질을 전달하기 위해 설계됐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topnews/301639

문제가 될 시 삭제 하겠습니다.

2개의 심각한 리눅스 취약점이 우분트 사용자 40% 위협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로컬 권한 상승 공격을 할 수 있는 우분투(Ubuntu) 커널의 심각도가 높은 두 가지 보안 결함을 최근 공개했다고 더해커뉴스가 보도했다. 

클라우드 보안 회사인 Wiz는 이 보안 결함이 우분투 사용자의 40%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해외 보안 연구원은 “영향을 받는 우분투 버전은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기본 운영 체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클라우드에서 널리 퍼져 있다.”라고 말했다.

CVE-2023-2640 및 CVE-2023-32629(CVSS 점수: 7.8)로 알려졌고 ‘GameOver(lay)’라고 불리는 취약점은 OverlayFS라는 모듈에 존재하며 특정 시나리오에서 부적절한 권한 검사의 결과로 로컬 공격자가 상승된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오버레이 파일 시스템은 여러 디렉토리 트리 또는 파일 시스템을 하나의 통합 파일 시스템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해주는 통합 마운트 파일 시스템을 말한다.

두 가지 결함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CVE-2023-2640: c914c0e27eb0 및 “UBUNTU: SOSE: Overlayfs.* xattrs”를 모두 포함하는 우분투 커널에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마운트된 파일에 권한 있는 확장 특성을 설정하여 적절한 보안 검사 없이 상위 파일에 설정할 수 있음.

CVE-2023-32629: 우분투 커널에서 ovl_do_setxattr을 호출할 때 Ubuntu 커널 오버레이 fsovl_copy_up_meta_inode_데이터 스킵 권한 검사의 로컬 권한 상승 취약성.

간단히 말해서, GameOver(lay)는 “범위가 지정된 파일 기능으로 실행 파일을 만들고 우분투 커널을 속여서 범위가 지정되지 않은 기능으로 다른 위치에 복사하여 실행하는 모든 사람에게 루트와 같은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책임 있는 공개에 따라 우분투는 지난 2023년 7월 24일부터 이 취약성을 수정했다.

위즈 CTO이자 공동 설립자는, “이 연구 결과는 우분투가 도입한 리눅스 커널의 미묘한 변화가 예측하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또 연구원들은 “두 가지 취약점 모두 우분투의 OverlayFS 모듈에 대한 개별 변경 사항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우분투 커널 고유의 것”이라며 “CVE-2016-1576, CVE-2021-3493, CVE-2021-3847, CVE-2023-0386과 같은 다른 취약점과 비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 :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48196

위 포스팅이 문제될 시 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