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31

[상생의 디지털]게임 먹튀·사기에 칼빼든 정부... 등급분류도 민간 이양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제2테크노밸리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일곱번째, 상생의 디지털, 국민권익 보호'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제2테크노밸리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일곱번째, 상생의 디지털, 국민권익 보호'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아이템 사기와 '먹튀' 논란 등으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전국 경찰서 내 게임 사기 수사 전담 인력을 대폭 늘리고, 전자상거래법에 동의의결제도 도입으로 손쉬운 피해 구제를 돕는다. 먹튀 게임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모바일 게임 표준약관도 개정한다.

아울러 해외 게임사 역시 불공정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국내 대리인 제도를 적용한다. 그동안 많은 게임 이용자로부터 빈축을 사던 게임물 등급분류 기준 또한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개선하고 단계적으로 등급분류 권한이 완전한 민간에 이양된다.

윤 대통령은 “국민 63%가 즐기는 게임은 이제 단순히 개인 여가나 취미 활동 범위를 넘어섰다”며 “엄청난 성장동력이자 대표적인 디지털 융합 산업으로, 국가가 이제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규모를 키우기 위해 무엇보다 소비자가 제대로 보호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민생토론회 현장에 참석한 게임 전문 유튜버 'G식백과' 김성회 씨와 김희정 안양대 게임콘텐츠학과 학생, 이재원 게임이용자협회 이사 등은 건강한 게임 산업·문화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과 소액사기 관련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김성회 유튜버는 “게이머를 더이상 계도와 계몽 대상이 아닌 한명의 국민이자 소비자로 봐주길 바란다”며 “게임사도 자정 노력을 기울이는 만큼 게임을 악으로만 규정하지 말고 채찍과 당근, 규제와 진흥이라는 두 가지를 병행해주길 바란다”고 제언했다.

게임 아이템 소액 사기 근절을 위해 경찰청은 전국 150개 경찰서에 수사 전담 인력 200명을 지정한다. 게임 사기 처리 기간 단축 등 피해자 중심 수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게임사기 피해자 주 연령대가 10대·20대인 점을 감안해 예방교육을 확대하고, 게임사 자율규제를 유도한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1분기 중 입법예고를 통해 전자상거래법에 담게될 동의의결제도를 활용해 게임사와 분쟁을 겪은 이용자가 별도 소송 제기 없이 직접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을 마련한다. 동의의결제도는 사업자 스스로 시정방안을 제안하고 공정위가 타당성을 인정하면 행위의 위법성을 따지지 않고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다. 시정방안에 '소비자 보상 규모·방안'을 명시하도록 해 피해구제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게임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게임물 등급분류 민간 이양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우선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GCBR)에 모바일 게임을 추가 위탁하고, 차후 게임산업법 개정을 거쳐 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한 청소년이용불가 게임 위탁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게임물등급분류를 완전 자율화하고,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사후관리 기관으로 기능을 축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게임업계 역시 정부가 게임 산업 중요성을 인식했다는 측면에서 호응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경기불황으로 많은 게임사가 실적 부진을 겪는 가운데 시장 활성화와 진흥 방안이 언급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우려 목소리가 나온다. 아직 관련 법·제도 정비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해외 게임사 대비 역차별을 겪거나 무분별한 소송 제기로 인한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은 “게임사가 지속 성장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게임 산업에 대한 진흥·육성 정책은 3월 중 발표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etnews.com/20240130000404

2024/01/30

[긴급] ‘임금 수령 통지서’로 위장한 큐싱 메일 유포

공격자 발신인 ‘ahblab.com’으로 위장...메일 헤더에서 실제 발신인 확인 가능 금전적인 피해 및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메일 확인에 각별한 주의 요구돼 최근 중화인민공화국 재정부를 사칭한 큐싱 메일이 유포돼 주의가 요구된다. 큐싱(Qshing)이란 QR 코드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QR 코드를 스캔하면 악성 앱 설치 또는 피싱 사이트에 접속되는 공격 유형 중 하나다.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에 따르면 유포 중인 메일은 2024년 1분기 임금 수령 통지서를 위장하고 있다. 본문에는 임금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휴대폰을 이용해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유도하는 문구가 포함돼 있다. 공격자는 발신자 메일 주소를 ‘ahblab.com’으로 위장했는데, 메일 헤더를 통해 실제 발신자 메일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메일 헤더를 확인하는 사용자는 드물어 메일 주소가 위조됐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사용자가 메일 본문의 QR 코드를 스캔할 때, 최종 피싱 사이트로 리다이렉트되는 구조다. 리다이렉트된 페이지에서는 브라우저 가로 넓이를 확인해 996보다 큰 경우 PC 환경으로 판단하고 모바일 접속을 유도하고 있다. 해당 사이트에는 이미지와 같이 보조금 수령 관련 문구를 포함한 알림창이 뜬다. 알림창의 버튼을 클릭하면,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페이지로 연결된다. 지원금 신청을 위한 사용자 이름, 아이디 번호 입력 및 카드·휴대폰 번호와 비밀번호 등 추가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로 전송된다. 이처럼 공격자는 큐싱, 발신자 위조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해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유출된 정보를 이용해 금전적인 피해 및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메일 열람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26177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4/01/28

라즈베리 파이 프로젝트에 가능성을 추가하는 8가지 확장 보드

 라즈베리 파이는 이미 독창적이고 다재다능한 초소형 컴퓨터다. 그러나 라즈베리 파이에 바로 꽂아 연결하는 확장형 하드웨어를 더한다면 가능성은 한층 배가된다. 라즈베리 파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확장형 하드웨어를 소개한다. 


확장 보드(HAT, Hardware Attached on Top)의 개념을 적용하면 라즈베리 파이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다. 단순히 보드의 GPIO 핀에 꽂으면 되는 형태다. 확장 키트에는 보통 메인보드와 확장 보드가 너무 가까워지지 않도록 회로 간섭을 방지하는 플라스틱 칸막이가 들어 있다. 최근 이러한 확장 보드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공식 HAT 외에도 프리모로니(Primoroni)라는 업체의 확장 보드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흥미로운 HAT 보드를 소개한다. 주로 라즈베리 파이 모델 4에서 지원하는 확장 보드지만 구형 모델이나 신제품 파이 5까지 지원하는 제품도 있다. 그러므로 구입하기 전에 꼭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DAC로 풍부한 소리를 
ⓒ Raspberry Pi Foundation

상자에서 꺼내자마자 바로 연결해 보드의 음질적 특징을 개선하는 확장 보드로는 DAC가 있다. 라즈베리 재단도 다양한 DAC 모델을 내놓고 있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보드는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더디지(TheDigi)의 AMP+는 컴퓨터와 항상 연결된 스피커가 필요할 경우 올바른 선택이다. AMP+ 보드는 일반적인 클램프 타입의 케이블 연결과 최대 채널당 35W 출력을 지원한다. 거실용으로도 충분한 출력이다. 

라즈베리 파이 DAC나 플러스 버전은 반면, 액티브 스피커용으로 설계됐다. 전통적인 바나나 플러그를 사용한다. 그런 시스템에서 통합 애플리파이어와 스피커는 시그널 소스에 연결된다. HAT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큰 스피커나 스테레오 시스템(AUX 입력)에 직접 라즈베리 파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면 라즈베리 파이를 WLAN용 스트리밍 박스로 만들 수도 있고, 저장 미디어 안의 음원을 재생하게 할 수도 있다. 
 

모든 레고 마니아를 위해 

ⓒ IDG

라즈베리 파이 빌드 HAT 확장 보드는 마인드스톰(Mindstorm)의 코스모스 등 최대 4개의 모터와 센서를 제어한다. 레고의 조립 방법을 좋아하는 레고 애호가에게 특히 인기가 높을 것이다. 몇몇 상점에서는 레고로 만든 완성품에 직접 달 수 있는 레고 보드를 판매하기도 한다. LPF2 연결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통합된 파워 용량이 보드의 모터를 제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HAT 보드의 보충 요소로 외장 파워 유닛을 쓸 수 있지만, 지원되는 HAT 보드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워 유닛을 파이 400에 함께 사용할 수는 없다. 거리, 움직임, 색상 센서를 제어하는 파이썬 프로젝트를 위한 확장 라이브러리도 있다. 

이 확장 보드는 30달러 미만에 판매되고 있다.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파워 부품의 가격도 20달러가 채 안 된다. 
 

스마트홈 자동화를 위한 라즈비 II  

ⓒ Raspbee

중앙에서 라즈베리 파이로 스마트홈을 운영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가? 그렇다면 라즈비 II 보드를 살펴봐야 한다. 이름대로 지그비 표준을 사용하는 기기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확장 보드다. 심지어 작은 배터리 슬롯도 있어서 실시간으로(RTC) 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기본 개념은 여러 제조업체의 서로 다른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일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조업체의 소프트웨어가 인식하는 부품이라면 모두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구입을 결정하기 전에 문서를 잘 살펴볼 가치가 충분하다. 결국 지그비는 통신 프로토콜일 뿐이다. 제어 시스템의 마법적인 면은 소프트웨어가 수행한다.  
 

게임 HAT : 라즈베리가 게임기로 변신? 

ⓒ Waveshare


오래 전 레트로 파이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다. 목표는 이 작은 보드를 게임 콘솔로 바꾸는 것이었다. 여기에 딱 맞는 동반자가 바로 웨이브쉐어(Waveshare)의 게임 HAT(Game HAT)이다. 그러나 대기 기간이 길고 판매 국가가 적은 단점이 있다. 

상단에 결합된다는 뜻의 HAT이라는 단어가 꼭 들어맞지는 않지만, 이 시나리오에서 라즈베리 파이는 게임패드 하드웨어와 연결된다. 게임 HAT에는 480×320 픽셀과 60fps 해상도의 3.5인치 화면이 부착되어 있어서 고전 게임에 적합하다.

작은 스피커 2개와 헤드폰 연결 잭이 통합되어 있다. 다른 게임패드에서 자주 보였던 버튼도 그대로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 상단에는 트리거도 2개 있다. 그러나 매우 섬세한 제품이라서 최대한 오래 게임을 즐기려면 절대로 거칠게 다뤄서는 안 된다. 

설정은 매우 쉽다. 전체 시스템은 배터리로 구동하므로 언제 어디서든 플레이할 수 있다. 제품 설명서와 프로젝트 위키 문서에 외장 파워를 구입할 때 고려할 사양이 기술돼 있다. 

제조업체는 최대 2시간 동안 배터리로 플레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낙관적인 수치다. 실제로는 활발하게 게임할 경우 플레이 시간은 1시간 남짓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확장 보드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은 여전히 크다. 가격은 45달러 내외다. 
 

파이로 머신러닝을 

ⓒ IDG

브레인크래프트 HAT(Braincraft HAT)로 가능한 매력적인 프로젝트가 많다. 그러나 우선은 복잡한 주제에 익숙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이런 확장 프로젝트는 주말 안에 끝나는 짧은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확장 보드의 기본 개념은 전문가에게 다양한 위치에서 머신러닝을 위한 ‘두뇌’를 만드는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엣지 컴퓨팅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HAT과 회로 보드의 조합에 ‘시각’ 같은 다른 감각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 연결 옵션 덕분에 그다지 어렵지 않다. 브레인크래프트 HAT은 240×240 TFT IPS 화면에서 시스템의 피드백을 출력하고, 이미지 처리 프로젝트를 위한 카메라 연결 케이블 슬롯과 5웨이 조이스틱, 양쪽 마이크, 스테레오 헤드폰 출력, 스테레오 1W 스피커 출력, 3 RGB 도트스타 LED가 있다. 스테마 QT(Stemma QT) 연결로 열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아래쪽에 팬을 설치하면 연산 집약적 프로젝트를 할 때도 보드 온도가 조절된 . 

40달러라는 좋은 가격으로 프로젝트에 탄탄한 기반을 얻을 수 있다. 브레인크래프트는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영상을 통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보여준다. 
 

터치와 디스플레이 

화면에 직접 콘텐츠를 입력하는 것도 문제없다. 웨이브쉐어(Waveshare)의 저항막 방식의 3.5인치 디스플레이는 GPIO 바에 쉽게 부착할 수 있는 진짜 HAT 보드다. 배포 범위에는 세트인 스타일러스 펜도 포함된다. 드라이버로 우분투 메이트(Ubuntu Mate)나 레트로파이(Retropie)에서의 제어도 문제가 없다. 40달러를 들이면 간단한 입력 옵션인 이 HAT를 라즈베리에 추가할 수 있다.  

웨이브쉐어의 800×480 해상도의 터치 플레이도 호환된다. 확실히 5인치로 더 크고 정전식이다(압력이 없이 만지기만 해도 반응한다). 이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면 파이가 작은 태블릿으로 변신한다. 드라이버는 아주 잘 작동한다. 다른 태블릿에서도 데스크톱에서 직접 화면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디스플레이는 직접적인 HAT가 아니다. 대신 카메라 바와 케이블로 보드를 연결한다. 화면이 보드보다 크기 때문에 그 반대는 의미가 없었다. 이 설계의 장점은 GPIO 핀을 사용할 수 있고 액세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3D 프린터로 외부 하우징을 직접 설계할 수도 있지만, 전자제품 매장에서 다양한 하우징을 구입할 수 있다. 일종의 키오스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스탠드도 구입 가능하다. 

더 큰 디스플레이의 가격은 약 50달러다. 
 

취미애호가를 위한 에센셜 HAT 

ⓒ PiJuice

실외 프로젝트의 어려움은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사용 장소 근처에 항상 전원 소켓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UPS라는 단어를 검색해 라스파이(Raspi)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 보드를 여럿 찾을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만 삽입하면 되는 배터리 팩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웨이브쉐어는 UPS HAT를 제공한다. 

파이 주스(PiJuice)는 더 비싸다. 50달러 이상의 가격으로 1,820mAh 용량의 배터리를 구입할 수 있다. 성능에는 가격이 따른다. 배송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회로 보드에는 실시간 시계가 들어 있어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타임 스탬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스위치가 있다면, PoE+ HAT은 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하는 좋은 방법이다. 보드는 37V부터 57V까지 입력 전압을 처리할 수 있고 이후에도 보드에 일정하게 5V를 공급한다. 기본 탑재된 팬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의 온도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구입하기 전에 네트워크 스위치가 공급하는 전력과 전압을 확인해야 한다. 사양이 적합하면 20달러라면 여러 가지 상황에 잘 맞을 합리적 투자다. 
 
ⓒ IDG
 

로봇 공학 시작하기 

인정하자. 피모로니(Pimoroni)의 트릴로봇(Trilobot)은 단돈 60달러에 구입할 수 있는 순수한 입문자 키트다. 그럼에도 로봇 공학이라는 매혹적인 세계로 진입하는 기반을 만들어 준다. 흔히 그렇듯 제조업체가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잘 문서화해 두었다. 

그 외에 어떤 것이 필요할까? 물론 SD 카드가 기본 탑재된 라즈베리 파이가 필요하다. 이것은 이동형 로봇의 기본이므로 위치와 관계없는 전원 공급 장치도 필요하다. 설명서도 자세해서 배터리 팩을 탈착하는 방법도 알 수 있다. 추가 부품을 구입하기 전에 꼭 이런 점을 고려해야 한다. 라즈베리 파이 v2 카메라를 쇼핑 목록에 추가하면 로봇에 시각적 능력을 더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이 경우에도 HAT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다. 왜냐하면 라즈베리 파이 4를 설치해서 바퀴로 움직이고 2개의 전기 모터가 있는 월면차 느낌의 회로 보드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충돌을 방지하는 초음파 거리 센서도 있다. 그리고 RGB LED를 달면 로봇이 더 멋지게 보인다. 또한 교육 기관에서 직원이 로봇 공학 기초를 가르치기에도 적합하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news/322466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4/01/27

시가총액 3조 돌파한 마이크로소프트…사티아 나델라의 '2가지 도박' 적중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장 가치는 이번주 최초로 3조 달러를 돌파했다. 바야흐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빛나는 순간이라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플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시장 가치 3조 달러를 돌파했다.


CEO 사티아 나델라는 지난 10년 동안 3,810달러에서 3조 달러까지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업 가치를 키운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2014년 CEO에 취임했을 때만 해도 마이크로소프트는 혁신과 거리가 먼 정체된 업체였지만 현재는 차세대 먹거리인 AI 시대의 선두주자로 평가받는다.
BMNxT 비즈니스 및 마켓 어드바이저리의 최고 연구 책임자 디팍 쿠마는 “사티아 나델라가 수행한 전략은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애자일 개발과 클라우드라는 두 핵심 축을 중심으로 조직 차원의 문화적 변화를 이끌며 혁신적 변화를 시작했다. 2단계는 챗GPT 같은 AI 기반 일반 소프트웨어에 투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라고 분석했다.
 

나델라의 도박 : 클라우드

나델라의 장점은 승산이 있는 말을 찾아내는 재능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강자로 거듭나고 혁신적 기업으로 거듭난 것은 나델라가 클라우드에 집중했기 때문이었다. CEO 취임 전부터 클라우드 부서를 이끌던 나델라는 잠재력을 이해하고 있었다.


사이버미디어 그룹(CyberMedia Group)과 CMR 사장 토마스 조지는 나델라가 실행한 ‘클라우드 우선, 모바일 우선’ 전략이 마이크로소프트가 성장 궤도에 오르는 데 결정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로 대표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고 현대 컴퓨팅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중추적 역할을 인정해 전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술 진화의 최전선에 자리잡을 수 있었다”라고 분석했다.

IDC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상반기 시장 점유율 17.1%로 세계 최대 퍼블릭 클라우드 업체이며, 2위는 12.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 AWS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같은 기존 제품도 클라우드 기반으로 탈바꿈했다.

조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애저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 경쟁이 치열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강력한 선두 주자로 부상했다. AWS를 비롯한 기존 업계 주자에게 직접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엔터프라이즈 및 상업용 IT 스택에서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고, 사용자 조직의 클라우드 도입 물결에 발맞춰 적합한 제품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성장에 도움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오픈 AI라는 도박

AI 투자에서도 앞날을 내다보는 기묘한 감각이 다시 적중했다. 2029년 샘 알트먼의 오픈AI에 투자한 것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경쟁사보다 훨씬 앞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에 130억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픈AI는 2022년 챗GPT를 출시하며 IT 업계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제품 전반에 걸쳐 오픈AI의 LLM을 통합할 예정이다. 생성형 AI 시장은 2024년 666억 2,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만큼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 시장의 선두에 서는 것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AI 투자의 목표다. AI가 IT 분야를 지배할 준비가 된 지금, 마이크로소프트와 나델라의 위상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나델라는 윈도우 폰 등의 실패한 제품 단종을 주저하지 않았다. 인수 역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10년간 링크드인, 액티비전 등의 유명 업체를 포함해 총 100곳 이상의 인수 합병을 진행해 혁신 문화를 조성했다.

나델라의 지휘 아래 오픈소스 커뮤니티와의 관계도 강화됐다. 오픈소스 기여자 지수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소스 기여도가 총 2위다. 2018년에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깃허브를 75억 달러에 인수했다.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인수 당시 2억~3억 달러였던 깃허브의 연간 반복 매출은 2022년 1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문제가 될 시 삭제 하겠습니다.

2024/01/26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mstsc) 접속 이력 확인(RDP 접속 이력 로그)


내 PC에 내가 알 수 없는 새로운 파일이 생겼다던가,


누군가의 접속이 의심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Windows는 자체적으로 로그라는 기록을 남기게 됩니다.

다양한 Windows내에 일어난 활동들에 대해 기록을 하게 되는데,

오늘은 접속 로그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로그를 조회하는 순서

이벤트 뷰어 실행 > 응용프로그램 및 서비스 로그 > Microsoft > Windows >

TerminalServices-LocalSessionManager > Opertaional 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상세 설명 ( 이미지 첨부 )

1. 이벤트 뷰어 실행 방법 

- Win +R  > eventvwr 입력 후 엔터

- 검색 > eventvwr 또는 이벤트뷰어 입력

 

 

2. 응용프로그램 및 서비스 로그 선택

3. Microsoft > Windows >

TerminalServices-LocalSessionManager > Opertaional 에서 확인

아래의 이미지 처럼 접속이력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내 PC에서 직접 접속할 경우, 원본 네트워크 주소는 LOCAL이라고 표시되며

다른 곳에서 내 PC에 접속을 했다면 x.x.x.x의 IP가 남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event ID 25이 원격데스크톱 세션이 열린 것을 의미하며,

event ID 24는 원격데스크톱 세션을 종료한 것을 의미합니다.


위 포스팅이 문제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ckdtjqtm.tistory.com/5

2024/01/24

동료와 함께 싸운다, 디아 4 피조물의 시즌 시작

▲ 디아블로 4 피조물의 시즌 대표 이미지 (사진제공: 블리자드)

블리자드는 24일 디아블로 4(Diablo IV) 신규 시즌 '피조물의 시즌(Season of Construct)'을 시작했다. 이번 시즌에는 신규 퀘스트, 던전, 시즌 동료가 포함된다.

이번 시즌에서 플레이어는 오래전 졸툰 쿨레와 칼데움의 아유잔이 만든 고대 기술인 물레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간다. 사악한 악마 말파스가 물레를 손에 넣었고, 이에 말파스와 그의 잔혹한 피조물을 처치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이번에 추가되는 기계 청지기 동료와 함께 싸운다. 지배석과 지시석을 사용해 동료를 본인 플레이 방식에 맞춰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신규 던전 지하전당이 열리며, 위험하지만 끝까지 도달하면 큰 보상을 기대할 수 있다.

▲ 디아블로 4 피조물의 시즌 플레이 영상 (영상제공: 블리자드)

주간 던전인 시련의 터도 피조물의 시즌에 추후 업데이트된다. 높은 순위에 오르기 위해 경쟁하며, 자세한 내용은 업데이트 시 공개한다. 마지막으로 지옥물결 상시 활성화, WASD 키보드 지원, 추가 보관함 탭, 기술 트리 재할당 및 금화 거래 관련 UI 개선 등 편의성 개선이 포함됐다.

신규 시즌에 맞춰 PC방 혜택도 제공한다. 영원의 영역에서는 추가 경험치와 금화 10%, 은화 획득 기회 증가가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시즌 영역에서는 20%에 달하는 금화, 은화 획득 기회가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디아블로 4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 포스팅이 문제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탭 정리부터 나만의 테마 제작까지” 구글, 크롬에 생성형 AI 기능 추가

 

최근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 최신 버전에 3가지 새로운 AI 기반 기능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기능은 크롬 버전 M121에 포함되어 있으며, 앱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맥과 윈도우 PC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글이 "더욱 쉽고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실험적인 생성형 AI 기능"이라고 설명하는 일련의 새로운 기능은 미국을 시작으로 앞으로 며칠 동안 순차적으로 배포될 예정이다. 

새로 추가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탭 정리 : 크롬은 탭 그룹화할 탭 세트를 자동으로 제안한다. 주제 검색을 할 때 유용한 기능이다. 크롬의 제안에는 이름과 이모티콘도 포함돼 있다. 탭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팝업 메뉴에서 '유사한 탭 정리(Organize Similar Tabs)'를 선택하면 활성화된다.
  • 테마 : 구글은 안드로이드 14 및 픽셀에 사용된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델을 크롬으로 가져왔다. 테마는 색상, 분위기, 주제 또는 시각적 스타일에 따라 만들 수 있다. 이 기능은 크롬 사이드 패널에서 '크롬 사용자화 > 테마 변경 > AI로 만들기(Create with AI)'를 선택해 액세스할 수 있다. 크롬이 만든 생성형 AI 테마는 크롬 웹 스토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글 작성 도우미 : AI의 콘텐츠 제작 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구글은 사용자의 글쓰기를 도와주는 '실험적' 기능을 구현했다. 사용자는 텍스트 상자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글쓰기 도우미(Help Me Write)를 선택할 수 있다. 몇 단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글쓰기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news/322508

2024/01/22

리눅스 기기에 암호화폐 채굴기 유포하는 악성 패키지 3개 발견




최근 포티넷 포티가드랩의 사이버 보안 연구원들이 PyPI(파이선 패키지 인덱스) 오픈소스 저장소에서 리눅스 기기에 암호화폐 채굴기를 배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신종 악성 패키지 3개를 발견했다.

모듈세븐, 드리프트미, 캣미라(modularseven, driftme, catme)는 이름의 이 악성 패키지는 지난 한 달 동안 총 431건의 다운로드를 유도한 후 즉시 제거되었다.

조사 결과, 이 패키지가 처음 사용되었을 때 리눅스 디바이스에 코인마이너 실행 파일을 배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악성코드는 원격 서버에서 첫 번째 단계를 디코딩하고 검색하는 init.py 파일 내에 숨겨져 있다. 이 초기 단계에는 채굴 활동을 위한 구성 파일을 가져오는 셸 스크립트("unmi.sh")와 깃허브에서 호스팅되는 코인마이너 파일을 포함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nohup 명령을 사용해 백그라운드에서 ELF 바이너리 파일을 실행해 사용자가 세션을 종료한 후에도 프로세스가 지속되도록 한다. 특히, 이 수법은 컬처스트릭(culturestreak)이라는 패키지를 사용해 암호화폐 채굴기를 배포한 이전 캠페인과 유사하다.

이 멀웨어는 은밀성과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bashrc 파일에 악성 명령을 삽입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다시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은밀한 작전을 장기화해 공격자가 손상된 디바이스를 익스플로잇할 수 있는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패키지는 셸 스크립트 내에 악의적인 의도를 숨기는 추가 단계를 보여준다. 이 추가 단계는 보안 소프트웨어의 탐지를 회피하는 데 기여해 익스플로잇 과정을 더 길고 어렵게 만든다.

■사용자와 개발자를 위한 권고 사항

개발자는 정기적으로 종속성을 검토하고 업데이트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패키지가 안전하고 최신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

또 새 패키지를 통합하기 전에 해당 패키지의 인기도와 이력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수가 많고 긍정적인 리뷰가 있는 패키지는 더 신뢰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 검사 도구를 사용해 코드와 종속성을 분석해 잠재적인 취약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악성 패키지의 포함 여부를 탐지하고 방지할 수 있다.

최근의 위협과 공격 벡터에 대한 지식은 개발자와 사용자가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항상 관련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잠재적인 위협을 탐지하고 완화하기 위해 바이러스 백신과 침입 탐지 시스템을 포함한 엔드포인트 보안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

※위 포스팅이 문제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652

2024/01/21

CES 2024를 뒤덮은 ‘AI PC’는 소비자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지난 6개월 사이 PC 시장에 관심을 둔 사람이라면 놀라지 않을 소식이지만, CES 2024는 ’NPU(Neural Processor Units)’가 포함된 인텔 코어 울트라, AMD 라이젠 8000과 같은 새로운 칩을 탑재한 ‘AI PC’로 가득했다. NPU는 클라우드 서버(챗GPT 및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에 연결하는 대신 로컬 AI 작업을 가속화한다. 그런데 일상적인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이런 것이 실제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필자는 전시회장의 다양한 PC 제조업체 부스를 돌아다니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초기 로컬 NPU 처리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크리에이터 워크로드, 즉 어도비 포토샵, 다빈치 리졸브, 오다시티(Audacity)와 같은 툴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툴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로컬 AI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전시회를 샅샅이 살펴본 후 내린 결론은 아직 초기인 지금은 NPU 개선이 주는 매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엔비디아 GPU를 사용하고 있다면 강력하고 실용적인 AI를 이미 갖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

일단 NPU 기반 AI부터 살펴본다.


문제가 될 시 삭제 하겠습니다.

2024/01/19

윈도우 IIS 고급 로킹 설정

 Windows IIS 서비스에서 기본 로깅보다 다양한 로그를 남기고 싶을 때 고급로깅 모듈을 설치해 줍니다.

특히 X-Forwarded-For 설정을 통해 프록시 서버 또는 LB를 통해 연결되는 Client IP를 확인 가능 합니다.

고급 로깅은 IIS7.0 이상에서 사용 가능 합니다.


X-Forwarded-For란?

  • HTTP Header 중 하나로 HTTP 프록시 서버 또는 LB를 통해 HTTP Server에 요청한 Client의 IP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
IIS의 Advanced Logging 설치
고급 로깅 설정
  • IIS 관리자에서 해당 호스트명을 클릭하면 고급 로깅 메뉴 확인 가능

  • 고급 로깅 메뉴 클릭 > 우측 메뉴에서 고급 로깅 사용과 클라이언트 로깅 사용 활성

  • 로깅 필드 편집 클릭

  • 로깅 필드 편집 창에서 필드 추가 버튼 클릭

  • X-Forwarded-For 필드 생성 하기 위애 아래와 같이 각 필드에 값을 입력

  • 디폴트로 생성 된 로그 정의 클릭

  • 필드 선택 버튼 클릭

  • 앞에서 추가한 X-Forwarded-For 필드 선택

  • 해당 필드를 가장 맨 처음으로 이동 시킨 뒤 적용 클릭


로그 파일 확인

  • 디폴트 로그 정의 클릭 > 로그 파일 보기

  • 생성 된 파일을 메모장으로 오픈


로그 파일 보안 설정
  • 로그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설정을 강화하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한 로그 변조/삭제/유출 방지

 사용자 그룹

권한 

 Administrators

 모든 권한 허용

 System

 모든 권한 허용

 Users

 모든 권한 해제 / 그룹 제거

 Everyone

 모든 권한 해제 / 그룹 제거

  • IIS 로그 폴더의 최상단 폴더에서 속성 > 보안탭 > 고급 버튼 클릭


  • 고급 보안 설정에서 사용 권한 변경 버튼 클릭


  • 사용 권한 탭에서 이 개체의 부모로부터 상속 가능한 사용 권한 포함 체크 해제 후 추가 버튼 클릭


  • 삭제할 권한 항목을 선택 후 제거


위 포스팅이 문제될 경우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urban1980.tistory.com/43


“티모가 사기다?” 롤 2024 시즌 초기 메타 알아보기

 

지난 10일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이하 롤) 2024 시즌이 시작됐다. 매 시즌마다 많은 변화가 이뤄지는 롤이지만, 이번 시즌은 특히 새로운 시도가 많았다. 주요 변경점은 크게 3가지로, 소환사의 협곡 지형 변경과 신화급 아이템 삭제, 정글 몬스터 개편이다. 특히 소환사의 협곡 지형 변경은 워낙 오랜만에 이뤄지는 만큼, 소식 공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렇듯 워낙 큰 변화가 많다보니 게임 내에서는 현재도 달라진 협곡에 대한 여러 실험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시즌 시작 후 약 1주일 가량 지난 현재, 대세로 떠오른 챔피언과 아이템, 달라진 플레이 양상 등 주요 현황을 살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딜이 왜 이래?” 소리가 절로 나오는 챔피언들

현재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챔피언은 역시 티모, 피즈, 미스 포츈 3명이다. 세 챔피언 모두 53%에 육박하는 평균 승률을 보이고 있고, 브론즈, 실버, 골드 등 티어 구간이 낮을수록 더 좋은 지표를 기록 중이다. 특히 미스 포츈의 경우 이전 시즌 상위 티어들이 밀집해있는 에메랄드, 다이아몬드 구간에서도 53% 가까운 승률을 보여 명실상부한 ‘OP’로 자리잡았다.

해당 챔피언들의 강세에는 변화된 아이템 체계가 많은 영향을 끼쳤다. 티모는 신규 AP 아이템 악의를, 피즈는 신규 AP 아이템 폭풍 쇄도를, 미스 포츈은 조정된 방어력 관통 아이템들을 주로 사용한다.

먼저 티모의 핵심 아이템 악의는 주문력 80에 마나 600, 스킬 가속 20이라는 기본 능력치와 함께 경멸, 증오안개라는 궁극기 관련 고유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증오안개는 궁극기로 대상에게 피해를 입힐 시 지면에 추가 공격이 이뤄지는데, 이것이 티모의 궁극기 유독성 함정과 상당한 시너지를 내고 있다. 개발진은 15일 패치로 긴급하게 티모를 너프했지만,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 결과 티모는 주 라인인 탑 뿐만 아니라 정글과 서폿에서까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