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AI 노리는 대표적 공격 3가지는? AI 모델 공유 플랫폼, AI 취약점, 데이터 오염

 AI를 활용한 사이버 위협으로 신분위장, 피싱 콘텐츠 제작, 악성코드 제작 꼽혀

플랫폼 공격은 기반시설 공격, 클라우드 인프라 공격, SW공급망 공격으로 구분
위협 인텔리전스, 사이버공격 사전 파악 및 신속한 대응 통한 피해 최소화 위해 필요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가트너가 발표한 ‘2024년 주요 전략기술 동향(Top Strategic Technology Trends 2024)’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가 AI와 플랫폼이다. 이는 사이버 보안 위협 측면에서도 공통된 사항이다. AI를 노리는 공격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파급력을 높이기 위해 플랫폼을 타깃으로 공격하는 추세인 것.

[이미지=gettyimagesbank]


이와 관련 금융보안원 침해위협분석팀 유영목 팀장은 ‘2024 사이버보안 콘퍼런스’에서 AI를 타깃으로 한 사이버위협 사례로 △AI 모델 공유 플랫폼 공격 △AI 취약점 공격 △데이터 오염을 꼽았다.

첫째, AI 모델 공유 플랫폼 공격은 AI 모델을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한다. 둘째, AI 취약점 공격은 AI 시스템의 취약점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실행하는 공격이다. 셋째, 데이터 오염은 검색증강생성(RAG)과 같이 AI 모델이 참조하는 데이터를 오염시켜 악성행위를 유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AI를 악용한 사이버위협 사례로 유영목 팀장은 △신분위장 △ 피싱 콘텐츠 제작 △악성코드 제작을 꼽았다. 첫째, 신분위장에 대해 유 팀장은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해 신분을 위장하거나 악성앱을 통해 개인정보를 수집해 신분을 위장한다”며 “2023년 10월 GoldPickaxe 악성앱은 금융회사 앱으로 위장해 개인정보를 수집했는데, 수집된 정보는 SMS, 얼굴 비디오, 신분증 사진, 계정 정보 등”이라고 밝혔다.

둘째, 피싱 콘텐츠 제작이다. 피싱 콘텐츠 제작은 생성형 AI를 이용해 스피어피싱 이메일 문구를 생성하고, 이용자를 피싱 사이트로 유도한다. 피싱 사이트 역시 AI를 이용해 보안 이메일, 현금배당 안내, 상품 계약서 등 정교하게 만든 웹페이지를 바탕으로 이용자를 속여 피해를 입힌다.

셋째, 악성코드 제작이다. 생성형 AI를 이용한 악성코드 개발은 챗GPT를 이용해 랜섬웨어를 제작하는 사례를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주요 사이버위협 사례는 플랫폼 공격이다. 플랫폼 공격은 △기반시설 공격 △클라우드 인프라 공격 △SW공급망을 공격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이와 관련 유영목 팀장은 “기반시설 공격은 금융, 통신, 유통 등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는 주요 시설을 공격하는 것”이라며, “클라우드 인프라 공격은 컴퓨팅 자원(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공격하고, 불법 취득한 인증정보로 클라우드 접속 및 저장소 데이터에 접근해 클라우드 데이터를 유출하는 공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악성코드 유포지 및 C&C 서버로 일반 클라우드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도한 SW공급망 공격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배포 과정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배포하는 공격이다. 이와 관련 유영목 팀장은 악성코드 주입 -> 악성코드가 삽입된 영상통화 프로그램 다운로드 -> 가상자산 사업자로부터 시스템 정보, 계정정보를 북한 해킹조직에게 전송하는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형 악성코드 활용이다. 이는 Maas(Malware as a Service), RaaS(Ransomware as a Service) 등 해커가 판매하는 악성코드를 구매해 공격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유영목 팀장은 위협 인텔리전스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위협 인텔리전스는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하다”며 “사전 예방을 통해 공격으로 인한 피해와 복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유행처럼 번지는 우리집 '게임 룸'…플랫폼도 변화 맞춰 대응

# 최근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가수 겸 방송인 은지원씨가 공개한 작업실이 화제가 됐다. 게이밍 의자부터 초대형 PC 모니터, 각종 콘솔 게임기로 가득한 작업실은 게임방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PC방에서나 볼 법한 라면 제조 기계까지 놓여진 그의 모습은 자신만의 게임룸에서 여가를 즐겨 대중의 부러움을 샀다.

최근 좋아하는 취미를 위해 방 하나를 통째로 '게임룸'으로 꾸미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과거에는 여윳방을 서재로 꾸미거나, 옷방으로 꾸미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게임방, 홈짐(헬스방), 홈시네마 등으로 활용하는 모습이 늘고 있다. 실제 인스타그램에는 해시태그 #게임방, #게임룸 관련 게시글이 2만개 이상 있다. 핀터레스트에도 게임룸을 검색하면 이미지와 동영상이 실시간 올라온다. 유튜브에도 자신만의 취향을 담은 게임룸을 만든 이들의 영상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는 비단 남자만의 로망이 아니다. 연인이나 부부가 함께 게임룸을 만들어 같이 게임을 즐기는 모습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관련 상품 판매량도 꾸준히 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슈퍼앱 오늘의집에 따르면 PC나 모니터, 게임기 외에도 게임룸 전체 분위기를 조성하는 화려한 조명의 판매가 늘고 있다. 일례로 캥거의 ‘오로라 블루투스 스피커 무드등' 상품은 1500건이 넘는 사진 후기가 게재되는 등 반응이 활발하다. 공간LED의 ‘더쎈 LED T5 칼라 형광등' 상품은 게임룸 인테리어에 최적화된 상품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200건 이상의 리뷰가 올라오기도 했다. 편안한 착석감을 자랑하는 게이밍의자도 관심이 커진다. 일부 플랫폼에서는 별도 카테고리로 분류해 판매가 이뤄진다. 이 외에도 일부 플랫폼에선 게임룸에 관심있는 고객이 게임룸을 검색했을 때 원하는 카테고리의 상품을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조명 ▲책상 ▲의자 ▲헤드셋 ▲키보드 ▲게임기 ▲레이싱휠 등 카테고리 분류를 좀더 세분화하는 시도도 엿보인다. 게임룸 관련 콘텐츠도 급증하고 있다. 오늘의집에서 ‘게임방', ‘게임룸', ‘홈PC방'을 검색하면 사진부터 집들이, 노하우까지 다양한 관련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다. 화려한 조명과 책상, 그리고 다양한 게임 관련 장비로 채워진 게임룸 사진만 2000개가 넘는다.

오늘의집 관계자는 "집 안에서 평소 본인이 즐겨하는 게임을 하기 위해 게임룸을 꾸미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관련 콘텐츠와 커머스 상품도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https://it.chosun.com

2024/06/28

세종시, ‘국민행복 IT 경진대회’ 지역 예선 개최

세종시(시장 최민호)가 오는 7월 17일 세종시장애인복지관, 종촌동 시민정보화교육장에서 ‘2024 국민행복 정보통신기술(IT) 경진대회’ 지역 예선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대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광역자치단체가 주관하며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과 디지털 포용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역 예선 응시 부문은 등록 장애인(지체·발달·청각·시각), 고령층(65~74세·75세 이상), 장년층(55~64세), 다문화가족으로 4개다.

예선 참가 신청은 오는 7월 1일까지 대회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다.

고득점 예선통과자에게는 세종시장 상장이 수여되며 오는 9월 10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되는 본선 대회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성문현 세종시 정보통계담당관은 “이번 대회가 정보취약계층에게 정보화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정보취약계층은 물론 시민 모두 디지털 세상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https://www.newsro.kr/%EC%84%B8%EC%A2%85%EC%8B%9C-%EA%B5%AD%EB%AF%BC%ED%96%89%EB%B3%B5-it-%EA%B2%BD%EC%A7%84%EB%8C%80%ED%9A%8C-%EC%A7%80%EC%97%AD-%EC%98%88%EC%84%A0-%EA%B0%9C%EC%B5%9C/

2024/06/25

삼성전자, 업계 '최초' 레드햇 인증 CXL 인프라 구축


[경인매일=최승곤기자]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선도기업 레드햇(Red Hat)이 인증한 CXL(Compute Express Link) 인프라를 구축했다.

* CXL(Compute Express Link): 고성능 서버 시스템에서 CPU와 함께 사용되는 가속기, D램, 저장장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CXL 관련 제품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서버 전 구성 요소를 화성캠퍼스에 위치한 삼성 메모리 리서치 센터(SMRC)에서 검증할 수 있게 됐다.

* SMRC(Samsung Memory Research Center): 삼성전자의 메모리 제품을 탑재한 고객사가 자사 서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최적 조합을 분석하고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리서치 센터

삼성전자는 이달 업계 최초로 CMM-D 제품 레드햇 인증에 성공했으며, 이는 이번 인프라 확보로 이뤄낸 첫 성과이다.

* CMM-D(CXL Memory Module – DRAM): 삼성전자의 최신 CXL 확장 메모리 디바이스

CXL 제품 인증을 내부에서 자체 완료한 후 레드햇 등록 절차를 즉시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제품 개발이 가능해졌으며, 고객들과 개발단계부터 제품 최적화를 진행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인증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은 레드햇으로부터 유지·보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시스템을 더욱 편리하게 구축 가능하다.

이외에도 고객들은 하드웨어 안정성 보장, 리눅스 호환성 보증, 전문적인 지원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삼성전자와 레드햇은 하드웨어에 이어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협력하며 CXL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5월 미국 덴버에서 진행된 '레드햇 서밋 2024'에서 기업용 리눅스 OS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9.3 (Red Hat Enterprise Linux 9.3)' 기반 서버에 CMM-D를 탑재해 딥러닝 기반 추천 모델(DLRM)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연을 진행했다.

* Red Hat Enterprise Linux 9.3: 레드햇의 최신 서버용 운영체제(OS)

* DLRM(Deep Learning Recommendation Models): 영화, 외식 등 빅데이터 기반 추천을 위한 AI 소프트웨어

해당 시연에는 SMDK의 메모리 인터리빙 기술로 차세대 솔루션인 CXL 메모리 동작을 최적화해 메모리 용량과 성능을 모두 높였다.

* SMDK(Scalable Memory Development Kit): 차세대 이종 메모리 시스템 환경에서 기존에 탑재된 메인 메모리와 CXL 메모리가 최적으로 동작하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로 API, 라이브러리 등으로 구성됨

*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복수의 메모리 모듈에 동시에 접근해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하는 기술

이를 바탕으로 빠른 데이터 처리와 AI 학습·추론 가속화가 가능해 고객은 추가 시설 투자 없이 더욱 뛰어난 성능의 AI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레드햇은 CXL 메모리 생태계 확장과 새로운 기술 표준 제시를 목표로 파트너십을 강화해 다양한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한 고객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RAM 솔루션팀 송택상 상무는 "이번 레드햇과의 협업으로 고객들에게 더욱 신뢰성 높은 CXL 메모리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양사 간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메모리 솔루션 개발과 CXL 생태계 발전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레드햇 코리아 김경상 대표는 "삼성전자와 레드햇의 협력은 CMM-D와 같은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확장에 오픈소스 기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며, "양사는 CXL 솔루션의 시장 확대를 위해 지속 협력할 것"이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프라 확보를 바탕으로 AI 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60521

윈도우의 AI 리콜 기능, 코파일럿+ PC 출시를 놓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품질과 보안에 대한 “높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코파일럿+ PC의 AI 기반 리콜 기능을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향상된 시스템 검색 기능은 원래 6월 18일에 코파일럿+ 시스템이 출시될 때 광범위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미리 보기 기능으로 출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몇 주 내”에 출시되는 윈도우 인사이더 미리 보기로 제한될 예정이다.



5초마다 사용자의 활동 이미지를 찍어 스캔하여 콘텐츠를 기억하는 리콜 기능의 잠재적인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위험에 대해 사용자와 연구자들이 경고한 후 지연이 발생했다. 데이터가 일반 텍스트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PC를 침입한 침입자가 이론적으로 리콜의 스냅샷을 사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훔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소프트는 는 보안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윈도우는 윈도우 헬로우로 인증한 경우에만 리콜 스냅샷의 암호를 해독하며, PC의 타임라인을 검색하려면 사용자가 실제로 출석해야 한다. 또한 보다 명시적인 옵트인 옵션이 있으며 검색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도 암호화된다.

리콜 지연으로 인해 임박한 코파일럿+ PC 출시가 일부 지연되었으며,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는 뿐만 아니라 Acer, ASUS, Dell, HP, Lenovo 및 삼성과 같은 타사의 Surface 모델도 포함된다. 스냅드래곤 X 기반 노트북은 여전히 더 강력한 배터리 수명과 함께 업그레이드된 AI 기능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당분간 핵심 기능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론적으로 코파일럿+는 가까운 미래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과 구글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애플은 올가을에 애플 인텔리젠스베타를 통해 이제 막 고급 AI에 뛰어들고 있고, 구글은 크롬북에서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제미니를 만드는 초기 단계에 있다. 하지만 리콜 사태로 인해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다지 우위를 점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2024/06/22

웹 사이트 에러코드, HTTP 상태코드 100~500 전체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JP-Hosting 입니다.

웹 서핑 혹은 도메인 관리 등 누구나 한번 쯤 '에러코드' 를 마주한 적이 있을 겁니다. 

HTTP 상태코드 100~500 전체 요약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즉, 우리가 웹을 이용하려면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는 각각 TCP/IP 동작에 필수적인 IP 주소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HTTP란 이름대로라면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할 수 있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HTML이나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동영상, Javascript, PDF와 각종 문서 파일 등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데이터라면 무엇이든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https://www.naver.com을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면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사이에 HTTP 연결이 맺어지고 웹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 HTTP 요청 메시지를 보냅니다. 웹 서버는 요청에 따른 처리를 진행한 후에 그 결과를 웹 클라이언트에 HTTP 응답 메시지로 보냅니다. 이처럼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가 반복적으로 오가므로 우리는 웹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서버에서의 처리 결과는 응답 메시지의 상태 라인에 있는 상태 코드(status code)를 보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상태 코드는 세 자리 숫자로 되어 있는데 첫 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며 나머지 2개의 숫자는 세부적인 응답 내용 구분을 위한 번호입니다.

현재 100~500번 대까지 상태 코드가 정의되어 있는데 첫 번째 자리 숫자에 따라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분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 임시 응답으로 현재 클라이언트의 요청까지는 처리되었으니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입니다. HTTP 1.1 버전부터 추가되었습니다.
  • 2XX: Success(성공)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의미입니다.
  •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 완전한 처리를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주로 서버의 주소 또는 요청한 URI의 웹 문서가 이동되었으니 그 주소로 다시 시도하라는 의미입니다.
  •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 없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등 클라이언트의 요청 메시지 내용이 잘못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 서버 사정으로 메시지 처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서버의 부하, DB 처리 과정 오류, 서버에서 익셉션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HTTP 응답에 포함되는 상태 코드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라는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이 HTTP 상태 코드 레지스트리라는 이름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HTTP 상태 코드 전체를 요약 정리한 표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상태 코드는 빨간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Ctrl + F]로 필요한 상태 코드를 검색해 보세요.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상태 코드상태 텍스트한국어 뜻서버 측면에서의 의미
1XXInformational정보 제공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1xx 계열의 응답은 HTTP/1.1 클라이언트에게만 보낼 수 있으며 응답은 바디 없이 상태 라인, 헤더(생략 가능), 빈 줄로 종료됩니다.
100Continue계속계속 진행하라.
클라이언트는 요청 헤더에 ‘Expect: 100-continue’를 보내고 서버는 이를 처리할 수 있으면 이 코드로 응답합니다.
101Switching Protocols프로토콜 전환프로토콜을 전환하라.
프로토콜을 HTTP 1.1에서 업그레이드할 때 Upgrade 응답 헤더에 표시합니다. 현재는 HTTP 1.1이 최신이므로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102Processing처리중(WebDAV) 처리 중이다.
서버가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예상되어 클라이언트에서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 응답 코드를 보냅니다.
103 ~ 199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2XX: Success(성공)

상태 코드상태 텍스트한국어 뜻서버 측면에서의 의미
2XXSuccess성공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동작을 수신하여 이해하였고 승낙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처리하였다.
200OK성공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하였다.
201Created생성됨요청이 처리되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다.
응답 헤더 Location에 새로운 리소스의 절대 URI를 기록합니다.
202Accepted허용됨요청은 접수하였지만,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다.
응답 헤더의 Location, Retry-After를 참고하여 클라이언트는 다시 요청을 보냅니다.
203Non-Authoritative
Information
신뢰할 수 없는
정보
응답 헤더가 오리지널 서버로부터 제공된 것이 아니다.
프록시 서버가 응답 헤더에 주석을 덧붙인 경우가 하나의 예입니다.
204No Content콘텐츠 없음처리를 성공하였지만,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줄 콘텐츠가 없다.
응답에는 헤더만 있고 바디는 없습니다. DELETE 요청에 대한 응답에 많이 사용됩니다.
205Reset Content콘텐츠 재설정처리를 성공하였고 브라우저의 화면을 리셋하라.
예를 들어 브라우저가 입력 폼을 보여 주고 있을 때 이 응답 코드를 받으면 브라우저는 모든 입력 항목을 리셋하고 재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206Partial Content일부 콘텐츠콘텐츠의 일부만을 보낸다.
응답 헤더의 Content-Range에 응답 콘텐츠의 범위를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1,500 바이트의 리소스 중에서 처음의 500바이트만을 보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7Multi-Status다중 상태(WebDAV) 처리 결과의 스테이터스가 여러 개이다.
207 응답은 성공을 뜻하지만, 각각의 처리 결과가 성공인지는 바디를 봐야 알 수 있습니다.
208 ~ 299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상태 코드상태 텍스트한국어 뜻서버 측면에서의 의미
3XXRedirection리다이렉션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마치기 위해 추가 동작을 취해야 한다.
300Multiple Choices여러 선택항목선택 항목이 여러 개 있다.
지정한 URI에 대해서 콘텐츠 협상을 수행한 결과 서버에서 콘텐츠를 결정하지 못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복수 개의 링크를 응답할 때 사용합니다.
301Moved Permanently영구 이동지정한 리소스가 새로운 URI로 이동하였다.
이동할 곳의 새로운 URI는 응답 헤더 Location에 기록합니다.
302Found다른 위치 찾음요청한 리소스를 다른 URI에서 찾았다.
요청한 URI가 없으므로 클라이언트 메소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응답 헤더 Location에 표시된 다른 URI로 요청을 재송신할 필요가 있습니다. 302의 의미를 정확하게 개선해서 307을 정의하였으므로 이 응답 코드의 사용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303See Other다른 위치 보기다른 위치로 요청하라.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응답 헤더 Location에 표시된 URI에서 GET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의 폼 요청을 POST로 처리하고 그 결과 화면으로 리다이렉트시킬 때 자주 사용하는 응답 코드입니다.
304Not Modified수정되지 않음마지막 요청 이후 요청한 페이지는 수정되지 않았다.
If-Modified-Since와 같은 조건부 GET 요청일 때 지정한 리소스가 갱신되지 않았음을 알려 줍니다. 이 응답 코드에는 바디가 없습니다.
305Use Proxy프록시 사용지정한 리소스에 액세스하려면 프록시를 통해야 한다.
응답 헤더 Location에 프록시의 URI를 기록합니다.
306(Unused) 예전 버전에서 사용하다가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 코드입니다.
307Temporary Redirect임시 리다이렉션임시로 리다이렉션 요청이 필요하다.
요청한 URI가 없으므로 클라이언트 메소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응답 헤더 Location에 표시된 다른 URI로 요청을 재송신할 필요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향후 요청 시 원래 위치를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302의 의미를 정확하게 재정의해서 HTTP/1.1의 307 응답으로 추가되었습니다.
308~399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상태 코드상태 텍스트한국어 뜻서버 측면에서의 의미
4XX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다.
400Bad Request잘못된 요청요청의 구문이 잘못되었다.
클라이언트가 모르는 4xx 계열 응답 코드가 반환된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는 400과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401Unauthorized권한 없음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없다.
응답 헤더 WWW-Authenticate에 필요한 인증 방식을 지정합니다.
402Payment Required결제 필요지정한 리소스를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결제가 필요하다.
이 응답 코드는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403Forbidden금지됨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가 금지되었다.
401 인증 처리 이외의 사유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가 금지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리소스의 존재 자체를 은폐하고 싶은 경우는 404 응답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04Not Found찾을 수 없음지정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405Method Not Allowed허용되지 않은
메소드
요청한 URI가 지정한 메소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응답 헤더 Allow에 이 URI가 지원하는 메소드 목록을 기록합니다.
406Not Acceptable수용할 수 없음클라이언트가 Accept-* 헤더에 지정한 항목에 관해 처리할 수 없다.
응답 바디에는 300 응답처럼 서버가 수용 가능한 다른 선택지 리스트가 기록됩니다.
407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프록시 인증 필요클라이언트는 프록시 서버에 인증이 필요하다.
프록시 서버의 응답 헤더 Proxy-Authenticate에 필요한 인증 방식을 지정합니다.
408Request Timeout요청 시간초과요청을 기다리다 서버에서 타임아웃하였다.
409Conflict충돌서버가 요청을 수행하는 중에 충돌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명을 new_name으로 변경하려 하였지만, 서버에 이미 new_name이라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응답 헤더 Location에는 충돌이 발생한 리소스의 URI를 기록합니다.
410Gone사라짐지정한 리소스가 이전에는 존재하였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간이 한정된 프로모션 사이트가 사라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응답 코드입니다.
411Length Required길이 필요요청 헤더에 Content-Length를 지정해야 한다.
412Precondition Failed사전 조건 실패If-Match와 같은 조건부 요청에서 지정한 사전 조건이 서버와 맞지 않는다.
413Request Entity
Too Large
요청 객체가
너무 큼
요청 메시지가 너무 크다.
서버는 접속을 끊습니다.
414Request-URI
Too Large
요청 URI가
너무 긺
요청 URI가 너무 길다.
415Unsupported
Media Type
지원되지 않는
미디어 유형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미디어 타입을 서버가 지원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가 지원하는 이미지는 JPG, PNG뿐인데 클라이언트가 GIF 형식의 이미지를 요청하는 경우입니다.
416Range Not Satisfiable처리할 수 없는
요청 범위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리소스의 범위가 서버의 리소스 사이즈와 맞지 않는다.
417Expectation Failed예상 실패클라이언트가 지정한 Expect 헤더를 서버가 이해할 수 없다.
418 ~ 421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422Unprocessable Entity처리할 수 없는
엔티티
(WebDAV) 클라이언트가 송신한 XML이 구문은 맞지만, 의미상 오류가 있다.
423Locked잠김(WebDAV) 지정한 리소스는 잠겨있다.
424Failed Dependency의존 관계로 실패(WebDAV) 다른 작업의 실패로 인해 본 요청도 실패하였다.
426Upgraded Required업그레이드
필요함
클라이언트의 프로토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응답에 Upgrade 헤더를 보내 필요한 프로토콜을 알려 줍니다.
428Precondition Required사전 조건 필요함If-Match와 같은 사전조건을 지정하는 헤더가 필요하다.
If-Match 헤더가 있지만, 맞지 않는 경우는 412 응답을 보냅니다.
429Too Many Requests너무 많은 요청클라이언트가 주어진 시간 동안 너무 많은 요청을 보냈다.
요청의 속도를 제한할 때 사용합니다.  응답에 Retry-After 헤더를 보내 얼마나 기다릴지를 알려 줄 수 있습니다.
431Request Header Fields Too Large너무 큰 헤더헤더의 길이가 너무 크다.
헤더의 전체 크기가 크거나 또는 하나의 헤더가 매우 큰 경우입니다. 보통 Referer URL이 길거나 쿠키 항목이 많은 경우입니다.
444Connection Closed Without Response응답 없이
연결 닫음
(NGINX) 응답을 보내지 않고 연결을 종료하였다.
보통 악의적인 요청에 대해서 사용하며 클라이언트에서는 응답
을 볼 수 없고 Nginx 로그에는 나타납니다.
451Unavailable For Legal Reasons법적 사유로 불가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리소스를 요청하였다.
452 ~ 499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상태 코드상태 텍스트한국어 뜻서버 측면에서의 의미
5XXServer Error서버 에러클라이언트의 요청은 유효한데 서버가 처리에 실패하였다.
500Internal Server Error내부 서버 오류서버에 에러가 발생하였다.
클라이언트가 모르는 5xx 계열의 응답 코드가 반환된 경우에도 클라이언트는 500과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501Not Implemented구현되지 않음요청한 URI의 메소드에 대해 서버가 구현하고 있지 않다.
502Bad Gateway불량 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하는 서버가 그 뒷단의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받았다.
503Service Unavailable서비스 제공불가현재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보통은 서버의 과부하나 서비스 점검 등 일시적인 상태입니다.
504Gateway Timeout게이트웨이 시간초과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하는 서버가 그 뒷단의 서버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다 타임아웃이 발생하였다.
505HTTP Version Not SupportedHTTP 버전
미지원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사용한 HTTP 버전을 서버가 지원하지 않는다.
506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507Insufficient Storage용량 부족(WebDAV) 서버에 저장 공간 부족으로 처리에 실패하였다.
512 ~ 599Unassigned 현재 할당되지 않은 상태 코드입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에러코드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글이 문제시 삭제 처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출처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