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 “소버린 AI 2.0으로 산업 전반의 AI 전환과 국가 경쟁력 강화”
네이버클라우드가 6일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에서 ‘AI, 모두를 위한 도전’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자체 AI 인프라와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AI 활용 확산을 위한 계획을 밝혔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이 날 발표자로 나선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는 더 이상 연구의 영역이 아니라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술 인프라”라며 “우리의 데이터와 인프라, 기술로 산업의 AI 전환을 현실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그간 축적한 풀스택 AI 역량을 기반으로, AI 자립을 넘어 산업 중심으로 확장되는 ‘소버린 AI 2.0’의 방향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기존 소버린 AI가 언어와 문화 중심의 기술 자립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이라며, “네이버는 대한민국의 언어·데이터·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으로, ‘한국형 소버린 AI 2.0’을 통해 산업 AI 전환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2023년 비영어권 언어 기반 초거대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 이후 경량 모델, 추론 모델, 오픈소스 모델 등을 순차적으로 선보였으며, 오픈소스 모델은 현재 누적 200만 건 이상 다운로드됐다.
김 대표는 “하이퍼클로바X는 앞으로 ‘애니 투 애니(Any-to-Any)’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로 진화하며 클라우드용 대형 모델부터 피지컬 AI용 경량 모델까지 산업별 AI 혁신에 필요한 다양한 라인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지도,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인식하고 생성할 수 있는 차세대 AI 체계를 구축해, 산업별 요구에 따라 모델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와 AI를 안전하게 운영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을 위해 자사의 프라이빗 클라우드인 ‘뉴로클라우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내년 6월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러한 기술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특화 AI(버티컬 AI) 생태계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산업 기업들과 협력해 AI 기반 공정 운영, 설비 관리, 품질 예측 등 제조 전 과정에서의 AI 활용을 지원하며,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기술이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김 대표는 “우리의 풀스택 AI 기술이 산업의 데이터를 이해하고 결합할 때, 한국형 산업 AI의 표준이 만들어진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는 산업 AI 모델을 수출형 구조로 확장해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글로벌 소버린 AI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사우디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태국의 관광 AI 에이전트, 일본의 케어콜 서비스 등 각국 산업 환경에 맞춘 AI 모델을 적용하며 해외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게시글이 문제가 될 시, 삭제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