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IT 프로젝트 수행 경험 조사 - 신기술 도입과 IT 전문업체 활용을 중심으로
IT 프로젝트를 수행해 보신 분들이라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전부터 막막해졌던 경험이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IT 전문업체의 활용 여부, 활용을 한다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업체를 비교하고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물론이고,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는 분야에 어떤 전문업체들이 있는지조차 알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삼성SDS에서는 고객들이 IT 프로젝트의 준비 및 추진 과정에서 겪는 이러한 어려움과 니즈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24년 말, 국내 금융, 제조, 유통/서비스 업종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IT 의사결정 관여자 4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조사를 통해 기업들이 IT 신기술 도입을 추진하게 되는 계기는 무엇이고 신기술에 대한 정보는 어떻게 탐색하는지, IT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의사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또 IT 전문업체를 활용하는 경우 어떤 요소를 중심으로 업체를 선택하는지 등에 대해 파악하였습니다.
* 본 조사에서는 IT 부서의 차장급 이상(임원 및 C-level 포함) 및 재무 부서 임원급 이상을 IT 의사결정 관여자로 정의했습니다. 또한, 응답자들이 2024년 추진한 IT 프로젝트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IT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다 보면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이 우리 회사만의 문제인 것인지 의구심도 들고, 다른 회사들은 어떻게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가는지, IT 전문업체로부터 어떤 정보를 요구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증이 생기기도 할 것입니다. 본 리포트를 통해 그런 의문점들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IT 프로젝트 수행에 도움 되는 정보를 얻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Executive Summary
- 기업들이 신기술을 도입하게 되는 가장 큰 계기는 IT 트렌드(52%)에서 비롯되며, 기업들은 신기술에 대한 트렌드나 IT 전문업체, 도입 사례 등의 관련 정보를 주로 IT 컨퍼런스, 온/오프라인 세미나와 같은 행사(53%) 또는 Human Network(지인, 세일즈 인력),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와 같은 온라인 채널을 이용하여 탐색합니다.
- 신기술 도입 및 IT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최종 의사결정은 주로 CEO(65%)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CEO 외에는 IT 부서, 현업 부서, 재무 부서 등이 이해관계자로서 의사결정에 관여합니다.
- 85%의 기업들이 2024년 IT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IT 전문업체를 활용하였으며, SI(System Integrators)/MSP(Managed Service Providers) 업체를 활용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48%). SI/MSP와 컨설팅 업체 선택 시에는 ‘유연한 서비스’와 ‘업종 전문성 보유 여부’가 주요 고려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솔루션 업체 선택 시에는 안정적 서비스와 높은 기술력, CSP(Cloud Service Providers) 업체를 선택할 때는 안정적 서비스와 기존 제품과의 연계 용이성 여부가 중요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기업들은 IT 전문업체 선정 시, 레퍼런스 부족(61%)과 다양한 업체 간의 비교(54%)에 대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는 실 도입 사례(67%), 타 제품과의 기능 비교(37%), 최신 기술(32%) 등에 대한 컨텐츠였습니다.
IT 트렌드는 신기술 도입의 가장 큰 계기로 작용하며, 기업들은 주로 IT 컨퍼런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IT 신기술을 재빠르게 도입하여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기업은 없을 것입니다. 기업들이 IT 신기술을 도입하도록 만드는 가장 큰 동인도 바로 ‘IT 트렌드’(52%) 입니다.
팬데믹 이후 최근 몇 년간 IT 시장은 단기간 내 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큰 화두 아래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자일(Agile) 방법론 등이 각광받았고, 빠르게 도입하여 정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SaaS 솔루션은 더욱 보편화되었습니다. 생성형 AI와 같은 거대한 IT 트렌드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증가하는* 등 IT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업들이 신기술 도입을 고려 하도록 만드는 가장 큰 트리거가 바로 ‘IT 트렌드’로 나타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로 보입니다.* 삼성SDS, ‘2025년 국내기업 경영 환경 및 IT 투자 전망'(2025년 2월)
그 다음으로는 각 기업들이 수립한 ‘중장기 IT 로드맵’(49%), ‘사업의 변화/확장’(45%), ‘경영진의 요구’(36%) 및 ‘현업 부서 요청’(31%) 등 기업 내부 요인들이 신기술 도입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IT 신기술 도입 필요성이 발생했을 때, 절반 이상의 응답자(53%)는 IT 컨퍼런스나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통해 관련 업체나 도입 사례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컨퍼런스는 최신 트렌드를 다룰 뿐만 아니라 유관 IT 업체 소개, 네트워킹, 기술/상품 체험 등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IT 트렌드를 다각적으로 파악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 여겨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SDS 또한 매년 업종 전문성 기반의 사업 수행 사례 및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업종 세미나와 삼성SDS의 상품 및 기술에 대해 소개하는 웨비나, 또 삼성SDS의 기술 역량과 고객들의 성공 사례를 선보이는 REAL Summit(2025년 9월 예정) 등을 통해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다양한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다른 회사의 사례를 공유해줄 수 있는 ‘업계 내 지인’(30%), IT 전문업체가 보유한 솔루션 및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는 ‘IT 세일즈 인력’(27%)과 같은 Human Network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뉴스레터(26%), 포털 사이트(25%), IT 커뮤니티(23%), 리서치 기관 보고서(22%)와 같이 비교적 정보 획득에 드는 소요시간이 적고 접근성이 좋은 채널들도 정보 탐색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 툴을 사용한다는 응답은 9%로, 아직 비중은 낮지만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신기술을 탐색하려는 시도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종 의사결정은 CEO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IT와 현업 부서가 의사결정에 주로 관여
다음으로는 IT 신기술 정보 탐색 이후 이루어지는 신기술 도입 의사결정 및 IT 프로젝트의 준비·추진 과정에 대해 조사해 보았습니다. 기업마다, 프로젝트마다 과정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설문조사는 2024년 추진한 IT 프로젝트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진행하였습니다.
IT 프로젝트 진행 시, 주로 CEO(65%)가 최종 의사결정권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CIO, CDO, CTO와 같은 IT 부서의 C-level들이 최종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도 15%로 나타났습니다.

최종 의사결정자 외에는 주로 IT 부서(78%), 현업 부서(69%)가 IT 프로젝트 관련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재무 부서(40%) 또한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있는데, 직급이 높을수록(부서장/임원급) 재무 부서를 이해관계자로 고려하는 비율이 높게(53%) 나타나는 점이 특징적이었습니다.

기업들은 IT 프로젝트 수행 시 SI/MSP 업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IT 전문업체 유형에 따라 선정 기준을 다르게 설정함
응답자들은 2024년, 시스템 설계/구축(41%), IT 솔루션 도입(37%)과 같이 시스템 도입과 관련된 IT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IT 전문업체를 활용한 비율은 85%에 달했으며, 그 중 가장 많이 활용된 업체의 유형은 SI/MSP 업체(48%)였습니다. 컨설팅, 글로벌 솔루션, CSP 업체 활용은 각각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IT 프로젝트의 종류에 따라 활용할 업체의 유형(SI/MSP, 컨설팅, 글로벌 솔루션, CSP 등)을 정하고 나면 여러 업체의 제안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기업들은 각 업체의 제안 내용 및 특장점, 기존 수행 사례,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협업할 파트너를 선택하는데, 아래의 응답 결과를 통해 기업들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업체를 비교하고 선정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업체 유형에 따라 기업들이 중시하는 요소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전문 인력 기반의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SI/MSP와 컨설팅 업체에 대해서는 요구사항에 맞는 유연한 서비스와 업종 전문성이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SI/MSP 업체는 안정적 서비스, 컨설팅 업체는 기술력 및 시장 내 평가 또한 선택 시 고려되었습니다.
상품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솔루션, CSP 업체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 여부가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글로벌 솔루션 업체는 높은 기술력, CSP 업체는 유연한 서비스 및 기존 사용 중인 제품과의 연계 용이성도 주요 고려 요소입니다.
레퍼런스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 도입 사례 정보를 필요로 함
IT 전문업체를 평가하고 선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이 준비되어 있다고 해도, 여전히 어려운 점들은 남아있습니다. 가장 큰 어려움은 바로 각 IT 업체들에 대한 레퍼런스가 부족하다는 것(61%)입니다. 경험 많고 전문성을 지닌 IT 전문업체를 원하지만, 제안서를 받고 미팅을 한다고 하더라도 업체들이 가진 IT 프로젝트 경험, 전문성에 대해 구체적이고 충분하게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업체가 너무 많아 장기간 비교해야 하는 점(54%), 어떤 업체가 있는지 알기 힘든 점(39%)은 정반대의 내용이지만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습니다. 필요한 정보의 부족(가격, 평판), 원활하지 못한 소통도 애로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는 바로 실 도입 사례에 대한 내용(67%)이었습니다. 다른 기업들의 도입 사례는 업체의 역량과 경험은 물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이나 결과 등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업체 비교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타 제품과의 기능 비교 정보(37%)나 최신 기술 정보(32%), 시장에 있는 업체의 리스트나 평판 정보를 알 수 있는 외부 기관 평가 자료(32%), 가격(31%)이나 투자 대비 성과(30%)와 같은 재무적 정보들도 기업들이 IT 전문업체를 선정하는 데 필요로 하는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기업들의 신기술 도입 계기와 정보 획득 과정, 도입 의사결정 및 IT 전문업체를 활용한 IT 프로젝트 진행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성공적인 신기술 도입과 IT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서는 IT 트렌드 및 기업 내부 요구를 반영한 신기술 채택, 그리고 충분한 정보 탐색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최종 의사결정자는 물론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이해관계자들과의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활용할 IT 전문업체 유형에 맞는 평가 기준을 사전에 수립하여 그 기준에 따라 후보 업체들을 평가하고 필요한 정보들을 요청한 후, 충분한 검토를 거쳐 가장 적합한 업체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 글이 문제 시 삭제 처리 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it-project-management-surve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