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 다른 길 택한 픽셀 10, ‘프로만의 기능’ 경계 허물어
구글이 프로 스마트폰의 기준을 재정의하며 새로운 보급형 표준을 제시했다.

Credit: Foundry
스마트폰 초창기에는 주류 브랜드가 대개 연간 하나의 플래그십 모델만 출시했다. 최신 아이폰, 갤럭시, 구글 넥서스는 하나의 주요 버전만 출시됐고, 더 저렴한 스마트폰을 원하는 사용자는 이전 세대 모델이나 중고 기기를 서드파티 업체에서 구입하곤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스마트폰 제조사는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 출시하기 시작했고, 아이폰 11에서는 애플의 프로 스마트폰 전략을 본격화하며 기능을 일반 모델과 프리미엄 모델로 나누기 시작했다.
사용자의 예산과 필요를 반영한 다양한 기기를 출시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 간의 뚜렷한 격차는 그러나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 간의 극명한 구분은 사용자가 구형 기술이 탑재된 저렴한 모델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다. 망원 카메라, 고주사율 디스플레이, 최고급 칩은 모두 프로 모델에만 탑재되며, 799달러 이상에 판매되는 일반 모델은 사용자를 상위 모델로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만 존재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애플의 프로 모델 중심 전략
아이폰 11 시리즈 이후 애플은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을 확연히 구분하기 시작했다. 섀시 재질, 색상 구성, 외관 디자인, 카메라, 디스플레이 등 거의 모든 요소가 차별화됐다. 아이폰 11을 예로 들면, 일반 모델은 평범한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반면, 아이폰 11 프로는 애플의 선명한 OLED 기술을 탑재했다.
애플은 이후 프로 모델에 신기능을 우선 탑재하고 일반 모델이 나중에 사양을 따라가는 방식으로 전략을 강화했다. 아이폰 14 프로는 다이내믹 아일랜드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했고, 아이폰 15 프로는 액션 버튼과 애플 인텔리전스를 가장 먼저 지원했다. 이러한 기능은 이후 아이폰 16에 이르러서야 일반 모델로 확장됐다. 일반 모델은 여전히 아이폰 11 프로에서 도입된 망원 카메라나 아이폰 13 프로의 프로모션 디스플레이 같은 기능을 기다리는 중이다.
현재 일반 아이폰을 구매하는 것은 1년 지난 기술을 구입하는 것과 다름없다. 오히려 할인된 이전 세대의 프로 모델을 구입하면 항시 표시 디스플레이, 120Hz 가변 주사율, 5배 광학 줌, 더 빠른 USB-C 전송 속도 등 픽셀 수준의 기능을 더 저렴하게 누릴 수 있다.